미국 정부가 북한이 제3차 핵실험을 강행하면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미 정부 소식통이 6일(현지시간) 밝혔다.
익명을 요구한 이 소식통은 미 정부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자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조지 부시 행정부 때인 2008년 10월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외했다.
핵실험은 테러행위가 아니지만, 미 정부는 테러지원국 재지정이 북한에 외교적 압박을 높여줄 것으로 믿고 있다.
미 정부는 또 북한, 테러지원국인 이란, 테러단체인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 간 군사협력의 세부내용을 분석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앞서 2011년 4월 미국 의회 초당파 의원단은 연평도 포격사건을 자행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해달라는 결의를 내놓았지만,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 7월 내놓은 ‘2011년 국가별 테러보고서’에서 “1987년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 이후 여하한 테러 활동에도 북한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진 바 없다”며 북한을 4년째 대테러 비협력국에 지정했다.
연합뉴스
익명을 요구한 이 소식통은 미 정부가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자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조지 부시 행정부 때인 2008년 10월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제외했다.
핵실험은 테러행위가 아니지만, 미 정부는 테러지원국 재지정이 북한에 외교적 압박을 높여줄 것으로 믿고 있다.
미 정부는 또 북한, 테러지원국인 이란, 테러단체인 레바논 무장 정파 헤즈볼라 간 군사협력의 세부내용을 분석할 계획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앞서 2011년 4월 미국 의회 초당파 의원단은 연평도 포격사건을 자행한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해달라는 결의를 내놓았지만,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 7월 내놓은 ‘2011년 국가별 테러보고서’에서 “1987년 대한항공기 폭파 사건 이후 여하한 테러 활동에도 북한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진 바 없다”며 북한을 4년째 대테러 비협력국에 지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