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당~지옥길 여섯 번 왕복… 4강행 숨은 주역 VAR

천당~지옥길 여섯 번 왕복… 4강행 숨은 주역 VAR

최병규 기자
입력 2019-06-10 01:20
수정 2019-06-10 01: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 팀 모두 PK 줘… 세네갈 골 취소도

레오단 곤잘레스 주심이 9일 폴란드 비엘스코비아와에서 열린 2019 국제축구연맹(FIFA) U20(20세 이하) 월드컵 한국과 세네갈의 8강전 도중 비디오판독(VAR) 화면을 살펴보고 있다. 비엘스코비아와 AP 연합뉴스
레오단 곤잘레스 주심이 9일 폴란드 비엘스코비아와에서 열린 2019 국제축구연맹(FIFA) U20(20세 이하) 월드컵 한국과 세네갈의 8강전 도중 비디오판독(VAR) 화면을 살펴보고 있다.
비엘스코비아와 AP 연합뉴스
36년 만에 다시 일궈낸 U20(20세 이하) 축구대표팀의 ‘4강 시나리오’에는 비디오 판독(VAR)이 톡톡히 한몫했다. 선수들은 천당과 지옥을 번갈아 오갔지만 결과적으로는 120분 연장 혈투에 이은 승부차기까지 VAR은 4강 진출에도 힘을 보탰다.

공식 경기 시간은 120분. 그러나 부상 치료와 VAR 판정에 따른 추가시간으로만 15분 남짓이 더 걸렸다. 전후반 90분 동안에만 무려 5차례의 VAR 판정이 이어졌다. 결론적으로 일본과의 16강에 이어 8강전에서도 극적인 VAR 판정은 태극전사의 편이었다.

세네갈전 첫 번째 VAR 판정은 태극전사를 웃음 짓게 했다. 0-1로 끌려가던 후반 14분 상대 진영 페널티 지역에 있던 이지솔(대전)이 세네갈 수비수에게 밀려 넘어졌다. 주심은 이 상황을 놓쳤지만 VAR의 ‘매의 눈’을 비켜가지 못했고, 주심은 모니터로 달려가 직접 눈으로 확인한 뒤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후반 27분에는 이재익의 핸드볼 반칙이 VAR에 발견됐고, 세네갈에 페널티킥이 주어졌다. 그런데 이브라히마 니아네의 페널티킥을 골키퍼 이광연(강원)이 몸을 날려 막아냈지만 주심은 재차 슛을 선언했다. 국제축구평의회(IFAB)가 6월부터 적용한 새로운 경기 규칙에는 ‘페널티킥 상황에서 키커가 킥하기 전에 골키퍼의 한쪽 발은 반드시 골라인을 밟고 있어야 한다’는 조항이 있었기 때문. 또 한 번의 VAR 판독 결과 니아네의 킥 직전에 미리 몸을 날리는 장면이 포착됐고, 이광연은 두 번째 니아네의 슛은 막지 못했다.

그러나 한국은 1-2로 끌려가던 후반 41분 또 VAR 덕을 봤다. 세네갈의 코너킥 상황에서 한국은 실점했지만 VAR 판독으로 세네갈 선수의 핸드볼 반칙이 선언돼 골이 무효가 됐다. 결국 후반 추가시간 이강인(발렌시아)의 코너킥에 이은 이지솔(대전)의 헤딩 동점골로 한국은 승부를 연장으로 몰고 갈 수 있었다. VAR이 아니었더라면 경기는 그대로 끝날 뻔했다.

승부차기 때에도 VAR은 태극전사의 편이었다. 한국의 마지막 키커로 나선 오세훈(아산)의 슈팅이 상대 골키퍼 선방에 막히는 듯했지만 주심은 VAR을 통해 세네갈 골키퍼의 반칙을 선언했다. 킥 직전 골라인을 먼저 뛰어나온 골키퍼의 모습이 VAR에 제대로 잡혔기 때문이다. 다시 시도한 오세훈의 슈팅이 세네갈의 골망 깊숙이 박히면서 한국은 ‘11m 룰렛’의 승자가 됐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최병규 전문기자 cbk91065@seoul.co.kr
2019-06-1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