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선수단 46명 중 1명 덜 오고 지원팀 2명 더 왔다

北 선수단 46명 중 1명 덜 오고 지원팀 2명 더 왔다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8-02-02 22:48
수정 2018-02-02 2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선수단 ‘1명 초과’ 해프닝 왜

현재 지원인력 2명 포함 47명 방남
선수 1명은 7일 응원단과 올 예정

‘북한 선수단 규모가 한 명 초과된 것 아니냐’는 논란은 통일부의 정보 차단 탓에 빚어진 해프닝이었다. 되레 선수단 46명 중 한 명이 아직 내려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신원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그는 오는 7일 태권도 시범단, 응원단과 함께 방남한다. 지난 1일 본진(32명) 합류로 북한 선수단 전원이 방남했다는 건 팩트가 아니었던 셈이다. 통일부의 감추기 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앞으로 이런 해프닝은 계속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기홍 평창조직위원회 기획사무차장은 2일 “전날 도착한 본진 32명은 입촌해 AD카드를 받은 만큼 모두 선수단에 포함된 인원”이라면서 “다만 앞서 방남한 선발대 15명(감독 1명, 선수 12명, 지원인력 2명) 중 선수단에 들어가지 않은 인원이 있다. 지원인력(2명)은 선수단이 아닐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도 “전날 양양국제공항을 통해 온 32명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협의된 (선수단) 46명 안에 다 포함돼 있다”면서 “(지난달 25일 방남한)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 12명과 감독 1명도 그 안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원인력 2명의 선수단 등록 여부는 북측이 IOC와 협의를 통해 판단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지금까지 47명이 방남한 게 아니라 지원인력 2명을 뺀 선수단원은 45명이 방남했다는 얘기다.

앞서 IOC는 지난달 20일 ‘와일드카드’(특별출전권)를 통해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할 북한 선수단 규모를 46명(선수 22명, 임원 24명)으로 최종 승인했다. 그러나 15명으로 알려진 여자 아이스하키팀에다 지난 1일 전세기편으로 내려온 32명을 더하면 방남 선수단 총원은 한 명을 초과해 47명이 돼 미스터리란 지적이 따랐다. 통일부가 ‘입’을 닫았기 때문이다. 통일부는 여전히 북한 지원인력 2명이 누구인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평창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서울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2018-02-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