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돈’쓰고 야심 찼던 LG의 시즌2 올해도 꼴찌로 추락하나

‘큰 돈’쓰고 야심 찼던 LG의 시즌2 올해도 꼴찌로 추락하나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1-11-15 18:02
수정 2021-11-16 02: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조성원 감독. KBL 제공
조성원 감독. KBL 제공
야심 차게 시즌2를 준비했던 창원 LG가 올해도 최하위에서 불운한 시즌을 보내고 있다. 이대로는 2시즌 연속 꼴찌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LG는 15일 기준 3승 11패로 이번 시즌 프로농구에서 전체 꼴찌다. 지난 시즌 19승 35패로 유일하게 3할대 승률(0.352)에 그치더니 이번 시즌에선 유일하게 2할대 승률(0.214)이다.

지난 시즌 부임한 조성원 감독은 “100점을 줘도 101점을 넣는 농구를 하겠다”며 화끈한 공격 농구를 약속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78.4점(득점 10위)을 넣고 83.4점(실점 9위)을 내주는 농구를 했다. 평균 33.6리바운드(8위)에 그쳐 수비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올해는 새로 데려온 외국인 선수 아셈 마레이가 리바운드 1위(13.1개)라는 점에서 높이 핑계를 대기가 어렵다. 여기에 자유계약선수(FA) 이관희와 이재도에게 13억원을 투자해 전력 보강도 확실히 한 상태다.

그러나 LG는 여전히 꼴찌다. 공격 농구를 꿈꾸던 조 감독의 바람과는 달리 LG의 ‘오펜시브 레이팅’(100번의 공격 기회에서 득점 기대치)은 109.6(5위)인 반면 ‘디펜시브 레이팅’(실점 기대치)은 112.5(2위)로 수비에서 더 많은 문제점을 드러냈다. 팀 평균 리바운드는 35.7개(5위), 스틸 7.6개(3위) 등 중상위권이지만 여전히 득점 78.1점(8위), 실점 81.6점(공동 5위)으로 잃는 점수가 더 많다.

신기성 SPOTV 해설위원은 이날 “LG는 수비가 잘 되면 공격이 안 풀리고, 공격이 잘 되면 수비가 안 돼서 밸런스가 잘 안 맞는다”며 “클러치 상황을 해결해 줄 선수도 다른 팀보다 부족하다 보니 그 부분이 아쉽다”고 짚었다.



2021-11-1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