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백혈병은 영화 속에서 속절없이 아름다운 사랑을 접어야 하는 비운의 질병으로 그려지곤 했지만, 이제는 항암제 개발과 골수이식으로 충분히 치료되는 질환이 됐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들이 절망보다는 희망을 갖기 바란다.” 매년 9월 22일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의 날’로 정해졌다.
서울성모병원 가톨릭암병원과 이 병원 백혈병 환자들의 모임인 ‘루산우회’, 의·과학 기자들의 모임인 한국과학기자협회는 공동으로 매년 9월 22일을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날’로 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22일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날로 정해진 것은 이 질환이 체내 9번, 22번 염색체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혈액암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
이에 따라 주최 측은 22일 오후 5시 서울 서초구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CML 환자와 보호자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항암제 복용 등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전국의 CML 관련 의료진과 연구원, 환자 및 보호자들이 참여해 CML과 새로운 치료 방법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행사에서는 전문의들의 세미나에 이어 백혈병의 과거·현재·미래를 조명하는 동영상 시청 및 연극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현재 CML은 노바티스의 글리벡과 타시그나, BMS의 스프라이셀, 화이자의 보수티닙, 일양약품의 라도티닙 등의 ‘표적항암제’ 복용이 주요 치료법이다. 이런 표적항암제가 듣지 않을 경우에는 골수이식을 해야 한다.
성모병원 김동욱 교수는 “백혈병은 더 이상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 아니지만 환자 4명 중 1명꼴로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거나 골수검사 등 정기 진단을 피해 병이 악화되거나 재발하는 점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내년부터는 국내는 물론 아시아 각국의 주요 병원이 CML 행사에 참여하도록 해 아시아 CML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힘을 보태겠다.”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서울성모병원 가톨릭암병원과 이 병원 백혈병 환자들의 모임인 ‘루산우회’, 의·과학 기자들의 모임인 한국과학기자협회는 공동으로 매년 9월 22일을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날’로 정했다고 최근 밝혔다. 22일이 만성 골수성 백혈병의 날로 정해진 것은 이 질환이 체내 9번, 22번 염색체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혈액암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
이에 따라 주최 측은 22일 오후 5시 서울 서초구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마리아홀에서 CML 환자와 보호자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항암제 복용 등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했다. 행사에서는 전국의 CML 관련 의료진과 연구원, 환자 및 보호자들이 참여해 CML과 새로운 치료 방법 등에 큰 관심을 보였다. 행사에서는 전문의들의 세미나에 이어 백혈병의 과거·현재·미래를 조명하는 동영상 시청 및 연극 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현재 CML은 노바티스의 글리벡과 타시그나, BMS의 스프라이셀, 화이자의 보수티닙, 일양약품의 라도티닙 등의 ‘표적항암제’ 복용이 주요 치료법이다. 이런 표적항암제가 듣지 않을 경우에는 골수이식을 해야 한다.
성모병원 김동욱 교수는 “백혈병은 더 이상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 아니지만 환자 4명 중 1명꼴로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거나 골수검사 등 정기 진단을 피해 병이 악화되거나 재발하는 점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내년부터는 국내는 물론 아시아 각국의 주요 병원이 CML 행사에 참여하도록 해 아시아 CML 환자들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힘을 보태겠다.”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9-2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