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경기도교육청이 ‘2025 경기교육 기본계획’ 수립과 관련한 정책브리핑을 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취임 4년 차를 맞아 내년부터 경기도교육청이 ‘공교육 대변혁’에 나선다.
경기도교육청은 10일 오전 수원 남부청사에서 정책브리핑을 열어 ‘2025 경기교육 기본계획과 주요업무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은 지난 7월 도교육청이 구축한 ‘경기미래교육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마련됐다. 임태희 교육감의 핵심 정책인 ‘경기미래교육’은 교육1섹터 학교를 중심으로 교육2섹터 경기공유학교, 교육3섹터 경기온라인학교를 유기적으로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공평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공교육 시스템이다.
2025 경기교육 기본계획은 ‘자율·균형·미래’의 기조 아래 학교 자율과 책임으로 역량을 키우는 교육(교육 1섹터 학교), 지역협력으로 꿈을 펼치는 교육(교육 2섹터 경기공유학교), 시공간을 넘어 배움을 확장하는 교육(교육 3섹터 경기온라인학교), 학교 중심의 공교육 확대를 지원하는 행정(행정지원) 등 4대 정책을 중심으로 한다.
도교육청은 공유학교 학점(수업) 인정 프로그램 개발, 경기온라인학교 학력인정 기반 마련, 인공지능(AI) 데이터 중심의 디지털플랫폼 구축 정책과제를 추가해 각 교육섹터의 추진동력을 마련했다.
2024 경기교육 기본계획 과제인 ‘에듀테크 활용 학력 향상’을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지원’으로 강화해 학생 맞춤형 학습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또 맞춤형 교육과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 2024 경기교육 기본계획 과제들인 ‘지자체 협력 책임돌봄 운영’,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다양화, ‘유치원 방과 후 과정 운영 확대’를 ‘지역협력 늘봄학교 확대’로 통합한다.
이밖에 도교육청은 2024 경기교육 기본계획 과제인 ‘학교시설 복합화 확대’, ‘미래교육 공간 조성’, 적정규모학교 육성’을 ‘학교공간 운영의 효율화’로 통합 추진해 안전한 학교 교육을 지원한다.
도교육청은 이런 내용의 2025 경기교육 기본계획과 관련한 홍보 자료를 만들어 내년 초에 학교 현장에 안내할 예정이다.
서혜정 도교육청 정책기획관은 “경기도의 다양성은 경기교육이 새로운 교육을 견인하는 강점인 동시에 도전 과제”라며 “공교육 영역을 확대해 환경, 자원, 기회의 차이가 학교, 지역, 문화의 차이로 이어지는 학습 격차를 줄이고 모두 필요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