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한 봉사단체가 주관한 캠프의 참가자들이 민간 여객선이 아닌 해양경찰 경비함을 타고 독도를 다녀왔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참가자들이 경비함 침실을 차지하는 바람에 승조원들은 대부분 경비함 바닥에서 쪽잠을 자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이 캠프의 공동대회장으로 이름을 올린 현직 국회의원은 소형 경비정까지 따로 지원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비함 타고 독도탐방..해경은 바닥서 쪽잠 YTN 방송화면 갈무리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비함 타고 독도탐방..해경은 바닥서 쪽잠
YTN 방송화면 갈무리
22일 YTN 보도에 따르면 지난 주말인 19~20일 3000t급 해경 경비함은 ‘국민안전 공감 캠프’ 참가자 80여명을 태우고 1박2일 일정으로 독도를 다녀왔다. 캠프 행사 때문에 이 경비함 승조원 40여명은 휴일인데도 항해에 나섰다.
김용진 강원 동해해양경찰서장은 “함정 운영관리 규칙에도 대외 민간단체를 지원할 수 있고 공식적으로 협조 요청을 받아서 공식적으로 결정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고 YTN이 전했다.
하지만 함장을 제외한 승조원들은 상부의 지시에 따라 자신의 침실을 캠프 참가자들에게 내주었고, 대신 승조원들은 체육실과 기관제어실 등 바닥에서 돗자리나 매트리스를 깔고 쪽잠을 자야 했다는 것이 YTN의 설명이다.
이 캠프의 공동대회장에는 양승조 더불어민주당·윤상현 자유한국당 의원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윤 의원은 캠프에 참석하지 않았지만 양 의원은 소형 경비정을 따로 지원받아 귀항 중인 경비함에 탔다.
양 의원은 YTN과의 인터뷰에서 “선상에서 인사말도 있을 뿐만 아니라 그분들에게 감사패도 주는 행사가 있어요. 행사를 선상에서 치르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갈 수밖에 없는 거예요”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YTN은 “독도를 수호하는 해양경찰의 노고에 감사하기 위해 마련했다는 ‘국민안전 공감 캠프’임에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하는 일선 해경 대원들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면서 “나아가 이들을 위로하기는커녕 더 고달프게 만든 이 행사가 진정 누구를 위한 것인지 해경 대원들은 묻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도 “내가 낸 세금을 니들 독도여행으로 썼구나”(다음 닉네임 ‘에스카’), “봉사단체가 아니라 대접받는 단체네? 해산해라”(다음 닉네임 ‘네티즌’), “봉사단체면서 경찰들한테 봉사받고 나랏돈으로 관광하고, 그게 무슨 봉사단체야”(다음 닉네임 ‘해적왕’) 등 비판적인 의견을 보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