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박5일에 쇼핑몰만 8회?… 서울시, 서울 여행상품에 외국인 요원 투입

4박5일에 쇼핑몰만 8회?… 서울시, 서울 여행상품에 외국인 요원 투입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4-09-27 11:55
수정 2024-09-27 1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전 수준으로 회복한 외국인 관광객 수
코로나19 전 수준으로 회복한 외국인 관광객 수 코로나19 전 수준으로 회복한 외국인 관광객 수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수가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의 96% 수준으로 회복 중인 가운데 29일 오후 서울 경복궁을 찾은 관광객들이 수문장 교대식을 보고 있다.
28일 한국관광공사는 지난 달 한국 방문 외국인 관광객이 14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5% 늘었다고 밝혔다. 2024.7.29
ond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시는 서울 도시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저품질 ‘덤핑관광’의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과 베트남에서 판매 중인 저가 패키지 상품에 외국인 요원을 투입해 품질 점검을 벌였다고 27일 밝혔다.

2인 1조로 구성된 점검 요원은 4박5일 저가 패키지 상품 7개(중국 3개·베트남 4개)를 직접 구매해 현지 출국부터 귀국까지 모든 일정을 동행하며 숙소·선택 관광 등 여행 전반에 대한 점검표를 작성했다.

요원들은 이들 패키지 상품 대부분이 관광보다는 단체 쇼핑에 집중돼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여유롭게 즐길 수 없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쇼핑몰 방문은 4∼8회에 달했으며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엔 원산지나 제조일이 명확히 표시돼 있지 않아 신뢰도가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쇼핑 실적에 따라 관광객을 대하는 가이드의 태도가 확연히 달라졌으며 버스 이동 과정에서부터 물건 구매를 지속적으로 권유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4)이 지난 30일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등과 함께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서남부농협 하나로마트에서는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감사, 당근, 수박, 복숭아 등 13개 품목을 대상으로 농축산물 할인지원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농축산물 실시간 타임세일, 주말세일 등 자체적으로 할인행사를 실시 중으로,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번 방문은 농식품부가 여름 휴가철 소비자 장바구나 물가 경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이 하나로마트 등을 비롯해 계획되고 진행되고 있는지 추진 상황 및 진행과정을 점검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점검에 참석한 유정희 서울시의원과, 송미령 농식품부장관 및 박준식 서울서남부농협 조합장은 농축산물 수급상관 및 할인지원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 방안 논의를 이어갔으며, 하나로마트 고객들의 현장 여론 또한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 의원은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에 대한 설명 이후, 산지와의 직거래를 통한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시는 이번 결과가 저가 패키지 여행상품 일부를 선별 조사한 것인 만큼 전체 상품으로 일반화할 수는 없다면서도 관광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에 강력히 대응해 관광 질서 확립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조사 결과는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 당국에 공유해 이들 상품의 확산을 최대한 막고 필요시 경찰 고발 등 법적 제재도 검토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