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 전국노동평등노동조합 외교부 재외공관 행정직지부 간담회
노조는 이날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신청을 접수하고, 조정이 결렬되면 파업일정을 공표하겠다고 밝혔다. 재외공관 행정직 노동자 총파업 선언은 이번이 처음이다.
행정직 지부는 17일 “이날로 외교부는 동결 등의 임금안을 제시했고 최종 노사 합의 불가로 노조는 협상결렬을 선언했다”며 “이에 쟁의 조정 신청을 통한 한국 최초 외교부 재외공관의 동시다발적인 총파업을 예고한다”고 밝혔다. 문현군 행정직 지부 위원장은 “오늘 임금 임상과 관련한 최종안을 달라고 요청했지만 외교부에서 팩스로 임금 동결 등을 담은 문서 한장만 보내왔다”고 말했다.
행정직 지부는 재외공관에서 비자 발급과 통·번역 등 실무 업무를 하는 행정직 노동자 400명이 가입한 노조로, 외교부를 상대로 임금 교섭을 진행해왔다. 교섭이 난항을 겪자 노조는 지난달 7∼11일 온라인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했고 약 94%의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했다.
행정직 지부는 “행정직원의 주거안정성을 위해 주는 주거보조비는 외교부 소속 외무공무원의 33%에 지나지 않는 열악한 수준”이라며 “일부 자녀는 학교에서 저소득층으로 분류되며 자녀 교육권, 주거안정성까지 침해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난해가 돼서야 4대 보험이 적용됐을 뿐”이라며 “이제는 정부가 나서 재외공관 행정직 노동자의 실질적 임금과 올바른 주거비 보장 및 공무원과 현저히 차별적인 복리후생 확보를 통한 생활권, 건강권과 안정권 등을 되찾아줘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