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평화의 소녀상 건립 추진위원회와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으로 구성된 평화비전국연대는 22일 “이기원 바른정당 충남도당 전 대변인은 여성 비하적 인식으로 위안부 피해자들을 모욕한 것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이날 오전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이기원씨는 바른정당에서 제명당했음에도 어떠한 입장을 표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 문제는 한 사람의 제명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라며 “바른정당은 이씨 발언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피해자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피해국의 정당으로서 가해자인 일본 정부에 피해자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지 못할망정 몰역사적, 반인권적 막말로 피해자와 국민에게 상처를 주는 행위에 대해 더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씨는 최근 자신의 SNS에 “충남 보령에서 추진 중인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민족 자존심에 스스로 상처만 내는 일”이라며 “위안부 역사를 기억한다며 가는 곳마다 동상을 세우는 것이 역사의 이름을 빌린 위선”이라고 밝혀 물의를 빚었다.
논란이 커지자 이씨는 자신의 글을 삭제했고, 바른정당은 17일 이씨를 제명 조치했다.
연합뉴스
이 단체는 이날 오전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이기원씨는 바른정당에서 제명당했음에도 어떠한 입장을 표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 문제는 한 사람의 제명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라며 “바른정당은 이씨 발언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피해자와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피해국의 정당으로서 가해자인 일본 정부에 피해자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지 못할망정 몰역사적, 반인권적 막말로 피해자와 국민에게 상처를 주는 행위에 대해 더는 좌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씨는 최근 자신의 SNS에 “충남 보령에서 추진 중인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민족 자존심에 스스로 상처만 내는 일”이라며 “위안부 역사를 기억한다며 가는 곳마다 동상을 세우는 것이 역사의 이름을 빌린 위선”이라고 밝혀 물의를 빚었다.
논란이 커지자 이씨는 자신의 글을 삭제했고, 바른정당은 17일 이씨를 제명 조치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