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상 빚은 김운성씨 부부 제작
어깨에 새 한 마리… 화해 메시지일제강점기 일본에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의 죽음을 기리는 ‘강제징용 노동자상’이 오는 12일 서울 용산역 광장에 처음 세워진다.
노동자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평화의 소녀상’ 작가 김운성(52)·김서경(53·여) 부부가 제작했다. 김씨 부부는 지난해 조선인 강제 노동 현장인 일본 교토시 단바 망간 광산에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상을 설치했다.
용산역광장에 설치되는 노동자상의 한쪽 어깨에는 자유와 평화를 상징하는 새가 한 마리 앉아 있다. 두 사람은 “비극이 치유될 때 비로소 새로운 내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화해의 메시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자상도 소녀상처럼 일본이 없애려 하면 할수록 그 숫자가 늘어날 것”이라면서 “분노를 잠재울 수 있는 유일한 진정제는 반성”이라고 강조했다.
용산역광장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제가 조선인을 강제로 징용하거나 모집해 일본으로 데려간 전초기지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어린이와 여성을 포함해 최소 100만명이 넘는 조선인이 이 용산역광장에 집결해 나가사키 군함도 등 일본과 사할린, 쿠릴 열도, 남양군도 등으로 동원됐다고 한다. 용산역이 지옥행 열차의 출발역이었던 셈이다. 이들 대부분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질병과 지진, 원자폭탄 투하 등으로 사망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7-08-1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