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에서 최근 3년간 학생 71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경기도교육청이 최종환(민주·파주1) 도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내 자살 학생 수는 2013년 24명, 지난해 26명, 올해 10월말 현재 21명 등 총 71명으로 나타났다.
자살 원인은 가정불화와 가정문제가 19명(26.7%)로 가장 많았고, 성적비관 13명(18.3%), 우울증 8명(11.2%), 이성문제 6명(8.4%) 등이 뒤를 이었다.
원인 미상과 기타 이유도 각각 16명, 6명으로 조사됐으나 경제적인 궁핍이나 폭력·집단 괴롭힘에 따른 자살은 없었다.
학생 자살이 끊이지 않는데도 교육청은 예방 교육에 사실상 손을 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가운데 성남, 부천, 시흥, 의정부, 동두천양주, 구리남양주 등 6곳에서 자살예방교육을 실시한 대상은 1만7천904명에 그쳤다. 이는 도내 전체 학생의 1.1%에 불과하다.
최 의원은 “학생에 대한 자살 예방 교육이 매우 저조하다”며 “교육감은 조례에 따라 자살 예방과 생명 존중에 관한 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17일 경기도교육청이 최종환(민주·파주1) 도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내 자살 학생 수는 2013년 24명, 지난해 26명, 올해 10월말 현재 21명 등 총 71명으로 나타났다.
자살 원인은 가정불화와 가정문제가 19명(26.7%)로 가장 많았고, 성적비관 13명(18.3%), 우울증 8명(11.2%), 이성문제 6명(8.4%) 등이 뒤를 이었다.
원인 미상과 기타 이유도 각각 16명, 6명으로 조사됐으나 경제적인 궁핍이나 폭력·집단 괴롭힘에 따른 자살은 없었다.
학생 자살이 끊이지 않는데도 교육청은 예방 교육에 사실상 손을 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도내 25개 교육지원청 가운데 성남, 부천, 시흥, 의정부, 동두천양주, 구리남양주 등 6곳에서 자살예방교육을 실시한 대상은 1만7천904명에 그쳤다. 이는 도내 전체 학생의 1.1%에 불과하다.
최 의원은 “학생에 대한 자살 예방 교육이 매우 저조하다”며 “교육감은 조례에 따라 자살 예방과 생명 존중에 관한 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