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재판’…코끼리 유배된 섬은?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재판’…코끼리 유배된 섬은?

입력 2015-09-21 09:37
수정 2015-09-21 09: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금으로부터 600여년 전 조선 태종 때 일이다.

태종 11년(1천411년) 일본 국왕 원의지가 사자(使者)를 조선에 보내 코끼리를 바쳤다.

당시 조선시대 사람들이 처음 본 코끼리는 하루 4∼5말(한 말은 약 18ℓ)의 콩을 먹었다.

이듬해(1천412년) ‘이우’라는 양반이 코끼리에 밟혀 죽는 사고가 났고 다시 한 사람이 코끼리의 ‘육중한 발’에 희생양이 됐다.

병조판서 유정현은 코끼리를 ‘피의자’로 재판을 열어 유배를 보내기로 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동물재판인 셈이다.

유배지는 순천부 장도, 지금의 전남 보성군 장도다.

유배를 보낸 지 얼마 되지 않아 전라도 관찰사로부터 장계(狀啓)가 올라온다.

코끼리가 장도에서 수초(水草)를 먹지 않아 날로 수척해지고 사람을 보면 눈물을 흘린다는 ‘서글픈’ 내용이었다.

이후 코끼리는 전라도와 충청도를 전전했다고 한다.

보성군은 이런 코끼리 이야기가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한다며 최근 전남도에 ‘가고 싶은 섬’ 사업 공모에 응모했다.

전남도는 장도가 코끼리가 유배온 섬으로 알려져 이를 활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발굴 가능성이 있다며 가고 싶은 섬 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장도는 벌교읍 상진항에서 마을 도선으로 30분이 소요되는 섬이다. 현재 615명이 사는 2.92㎢의 마을이다.

람사르 해안보존습지로 지정된 벌교갯벌이 있다. 꼬막과 게, 짱뚱어, 낚지 등 갯벌 자원이 풍부하며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다.

갯벌을 보존하기 위해 주민들이 기계작업을 마다하고 손으로 꼬막을 채취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장도는 섬의 형상이 노루를 닮았다고 노루 장(獐)자를 썼다고 한다.

골리앗과 다윗처럼 코끼리와 노루의 이미지가 대조를 이루며 뒤엉켜 있는 장도.

벌교천과 여자만을 이어주는 마치 징검다리 같은 섬.

다양한 스토리텔링으로 섬 관광객들의 발길을 붙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 관계자는 21일 “예산 지원, 주민협의회 구성, 주민 역량 강화 교육 등을 통해 전국의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유정희 의원(더불어민주당, 관악4)이 지난 30일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 등과 함께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서남부농협 하나로마트에서는 정부의 정책에 발맞춰 감사, 당근, 수박, 복숭아 등 13개 품목을 대상으로 농축산물 할인지원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농축산물 실시간 타임세일, 주말세일 등 자체적으로 할인행사를 실시 중으로, 소비자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완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번 방문은 농식품부가 여름 휴가철 소비자 장바구나 물가 경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농축산물 할인지원 사업이 하나로마트 등을 비롯해 계획되고 진행되고 있는지 추진 상황 및 진행과정을 점검하는 자리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점검에 참석한 유정희 서울시의원과, 송미령 농식품부장관 및 박준식 서울서남부농협 조합장은 농축산물 수급상관 및 할인지원 현장을 점검하고,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 방안 논의를 이어갔으며, 하나로마트 고객들의 현장 여론 또한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유 의원은 지역 소비자 물가 안정화에 대한 설명 이후, 산지와의 직거래를 통한
thumbnail - 유정희 서울시의원, 서울서남부 관악농협 하나로마트서 여름철 농축산물 할인지원 현장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