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뭍으로 올라와 우리 애 만나야 끝나는 거죠”

“배가 뭍으로 올라와 우리 애 만나야 끝나는 거죠”

이슬기 기자
입력 2015-04-22 23:40
수정 2015-04-23 0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단원고 실종자 허다윤양 부모 인터뷰

“인양 발표로 달라질 건 없어요. 배가 뭍으로 올라와 우리 다윤이를 만나야만 비로소 끝인 거죠.”

이미지 확대
단원고 실종자 허다윤양의 어머니 박은미(왼쪽)씨와 아버지 허흥환씨.
단원고 실종자 허다윤양의 어머니 박은미(왼쪽)씨와 아버지 허흥환씨.


22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 중국 관광객들로 북적이며 봄볕이 내리쬐는 평화로운 풍경 속에 노란 피켓을 든 중년 부부가 눈에 들어왔다. 지난해 세월호를 타고 수학여행길에 올랐다가 아직 돌아오지 못한 단원고 허다윤(당시 17세)양의 어머니 박은미(45)씨와 아버지 허흥환(51)씨다. 부부가 든 피켓에는 ‘세월호 속에 있는 9명의 실종자를 꺼내 주세요’라는 글귀와 함께 다윤양의 사진이 붙어 있었다.

정부가 세월호 선체 인양계획을 공식 발표했다는 소식에도 부부는 별다른 표정 변화가 없었다.

“기술적인 부분은 잘 몰라요. 참사가 일어났을 때부터 인양 얘기가 나왔는데 준비가 한참 전에 끝났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이르면 9월부터 시작이라고요? 왜 당장 시작하지 않는지….” 박씨가 고개를 떨궜다. “실종자 가족들은 그런 걸로 일희일비하지 않은 지 오래됐어요.” 허씨가 거들었다.

지난해 11월 정부가 수색 종료를 발표했을 때 부부는 눈물로 전남 진도의 팽목항을 떠났다. “정부가 ‘인양도 수색의 한 방법’이라고 했어요. 이미 수색을 종료하려고 준비를 다 해 놓고 가족들을 밀어붙이더라고요. 그 말만 믿고 물러섰는데 지금껏 된 게 아무것도 없어요.”

지난 2월 26일부터 부부는 매일 청와대 앞으로 출근한다. 마지막 한 명까지 찾아 주겠다던 박근혜 대통령의 약속을 상기시키기 위해서다. 피켓을 들고 있는 부부에게 한 관광객이 다가와 “천안함 (희생자 가족)이냐”고 물었다. 박씨는 “아직도 ‘세월호 참사 이후’를 모르는 분이 많다. 우리에게 ‘시신을 다 찾지 않았느냐. 왜 아직도 이러고 있느냐’고 하는 분도 있더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줄곧 청와대를 지키느라 광화문광장과 서울광장은 가 보지 못했다. 최근 세월호 1주년 추모집회에서 유가족 등 시위대에게 경찰이 물대포를 쏘고 캡사이신 최루액을 뿌렸다는 소식에 부부는 깜짝 놀랐다고 했다. “어떻게 자식 잃고 부모 잃고 형제 잃은 사람들한테 그럴 수 있을까요?”

인터뷰 내내 박씨는 “네?”라는 물음을 되풀이했다. 난치병인 신경섬유종을 앓는 박씨는 두 귀에 있는 종양 탓에 청력이 좋지 않다. 평형감각도 나빠 자주 주저앉는다. 그래도 이곳을 떠날 수 없다고 했다. 세상 누구보다 사랑했던 딸이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글 사진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04-2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