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치적 성향 차이 나

지난해 4월 1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북쪽 20km 해상에서 침몰한 6825t급 청해진 소속 여객선 세월호. 정연호 tpgod@seoul.co.kr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 연구단(단장 송해룡 교수)은 15일 (주)포커스컴퍼니(대표이사 최정숙)와 공동으로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 안심 수준 설문조사결과를 내놓았다.
연구단 김원제 책임연구원은 ’한국인 안심수준 40.8점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면서 “한국인은 현재 위험사회, 불안시대 상황에 놓여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정책이 국민의 불안 및 걱정을 해소하는데 부족하며 물리적 또는 기술적 안전과는 별개로 공중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이른바 ‘안심사회’로 정책적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조사에 따르며 안심 수준은 여성이 38.9점, 남성이 42.6점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불안해 했다. 연령대의 경우, 50대 이상은 45.6점, 20대는 40.5점, 40대는 38.9점, 30대는 38.5점 순이다. 권역별로는 영남권이 43.4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수도권은 39.2점, 호남권은 39.7점, 중부권은 40.2점이다. 정치적 성향의 경우, 보수적이라고 밝힌 응답자들의 안심 수준은 49.4점으로 50점에 육박했다. 반면 중도적 성향은 40.7점, 진보적 성향은 33.8점으로 보수와 진보의 안심 정도가 크게 달랐다.
특히 안심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인 안심 지수를 보면 평소 안전-안심과 관련 사전 관리가 잘 되고 있다는 점수는 43.0점, 사건 사고 발생 때 대응 차원은 40.7점, 사후 차원은 36.9점이다. 국가 및 사회의 안전정책에 대한 예방조치, 위험관리, 사후조치 등이 전반적으로 걱정 수준이라는 게 연구단의 분석이다.
이보희 기자 boh2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