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 현장에 공권력 투입…곳곳서 충돌

밀양 송전탑 현장에 공권력 투입…곳곳서 충돌

입력 2013-10-01 00:00
수정 2013-10-01 1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전력공사와 경남 밀양 주민이 갈등을 빚는 송전탑 건설 현장 주변에 1일 경찰이 대규모로 투입됐다.

한전은 지난 5월에 중단된 공사를 2일 오전 날이 밝는 대로 재개하기로 했다.

1일 경남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765kV 송전탑 공사현장으로 가는 길목에서 공사에 반대하는 한 주민이 경찰의 방패에 붙잡고 울부짓고 있다. 연합뉴스
1일 경남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765kV 송전탑 공사현장으로 가는 길목에서 공사에 반대하는 한 주민이 경찰의 방패에 붙잡고 울부짓고 있다.
연합뉴스


김종양 경남경찰청장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밀양시 4개 면 송전탑 현장에 모두 32개 중대 3천여 명의 경찰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 가운데 이날 오후 5시 현재 송전탑 건설 예정지인 밀양시 단장면 3곳, 부북면 1곳, 상동면 1곳 등 5곳에 13개 중대 1천200여 명을 배치했다.

나머지 19개 중대는 1일 오후 늦게 차례로 도착할 예정이다.

경찰이 배치된 곳곳에서 양측의 대치와 충돌이 이어졌다.

경찰 2개 중대가 배치된 단장면 바드리마을과 동화전마을에서는 경찰과 주민의 대치 상황이 10시간가량 계속됐다.

양측 사이에 서너 차례 몸싸움이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주민 고모(70)씨가 쓰러지기도 했다.

단장면 현장에는 1일 오후 늦게 정의당 김제남 의원과 민주당 장하나 의원이 합류할 것이라고 밀양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밝혔다.

부북면 평밭마을에서는 주민 20여 명이 ‘무덤’이라고 부르는 구덩이를 파 놓고 결사항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주민들은 쇠사슬로 몸을 묶거나 나무에 밧줄을 매달아 놓는 등 목숨 걸고 공사를 저지하겠다며 각오를 다졌다.

일부는 건설장비를 길가에 세워 출입을 가로막고 경찰과 대치하기도 했다.

한전은 단장면 바드리마을 현장 등 5곳에 180여명의 직원을 배치했지만 공사를 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창원지방검찰청과 경남경찰청 등은 창원지검 밀양지청에서 공안대책 지역협의회를 열어 공사를 방해하려고 현장을 점거하거나 폭력을 휘두르는 등 불법 행위자는 업무방해 등 혐의로 현행범 체포하기로 했다.

방화, 투석, 차량 파손 등 과격 참가자는 원칙적으로 구속 수사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경찰의 공권력 행사에 반발해 조성제 신부(밀양 송전탑 반대 대책위 상임대표), 환경단체 대표, 주민 2명 등은 오는 2일 오전 11시 서울 한전 본사 앞에서 단식 농성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날 반대주민들의 긴급 구제 요청을 받은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날 밀양에 조사관들을 보내 부북면에 상황실을 설치하고 나서 2일부터 본격 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송전탑 반대 대책위원회는 이날 한전 사장이 기자회견을 열어 공사 재개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 “정부와 한전은 공권력 투입으로 공사를 강행하면 각종 사고가 일어날 것”이라며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정부는 주민들이 오랫동안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실상을 파악할 조사단을 파견하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또 정부와 한전은 밀양 송전탑의 쟁점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TV토론을 열고 사회적 공론화 기구를 구성할 것을 주문했다.

밀양 4개 면에서 한전과 주민의 갈등으로 공사가 중단된 송전탑은 모두 52기에 이른다.

연합뉴스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2025년 제1회 서울시 추가경정예산에 노원구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총 33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전반적인 긴축 편성 기조 속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 공공의료와 복지 강화, 노후 인프라 정비 등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방향으로 잡아 전체적으로는 신규 편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봉 의원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노원구 지역의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예산 확보에 성공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끌어냈다. 특히 이번 노원구 지역 예산에는 노후 하수관로 정비, 보행환경 개선, 주민 여가공간 재정비 등 일상생활과 직결된 사업들이 대거 반영됐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제기돼 온 수요를 반영한 사업들로 노후 인프라를 개선하여 실제 생활 불편 해소와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내용들이다. 주요 예산 확보 내역은 ▲한글비석로 보행환경 개선사업 9억 7000만원 ▲월계동 923-1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5억원 ▲상계로 35길 87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8억 5000만원 ▲어울림공원 재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10억원 등이다
thumbnail -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