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치 시한폭탄을 안고 사는 것 같네요.”
5일 염소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한 경북 구미시 구미케미칼 인근의 주민 최모(46·구미시 공단동)씨는 사고 소식을 접하자마자 이같이 말했다.
이날 사고를 포함해 최근 6개월간 구미에서 불산, 염산 등 맹독성 화학물질 누출사고 3건이 잇따르자 시민들은 거침없이 불만을 쏟아냈다.
사고가 난 구미케미칼에서 불과 1㎞ 가량 떨어진 곳에 사는 조윤정(30·여·공단동)씨는 “유독성화학물질이 또 다시 누출됐다는 소식을 듣고 얼른 아파트 베란다 창문을 닫았다”며 “공기 중 유독가스는 멀리까지 퍼진다는데 4살난 아이를 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모(58·여·형곡동)씨는 “작년 불산누출사고 때문에 병원치료를 받았는데 또 다시 유독가스가 누출됐다고 하니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며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원인을 빨리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시민들은 환경당국의 무능한 예방책에 대해 분노를 표시했다.
시민 김모(40)씨는 “사고가 날 때마다 구미시 등은 대책마련에 부산을 떨지만 말로만 대책 운운하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잊을만 하면 사고가 터지니 불안해 살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수진(27·여·형곡동)씨는 “벌써 몇번째냐. 구미시가 화학물질 사고에 무관심한 것 같다”며 “안전관리와 대책에 구멍이 뚫린게 확실하다”고 말했다.
유독화학물질을 다루는 업체들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날 구미케미칼 염소가스 누출은 작업장 내 환풍시설이 고장 나 주입 중이던 염소가스가 역류하면서 발생했다.
시민 김민화(28·여)씨는 “같은 종류의 사고가 반복되는데도 유독화학물질을 다루는 업체들의 안전의식이 전혀 개선되지 않는 것 같다”며 “행정당국의 관리감독도 중요하지만 업체들의 솔선수범이 우선이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5일 염소가스 누출사고가 발생한 경북 구미시 구미케미칼 인근의 주민 최모(46·구미시 공단동)씨는 사고 소식을 접하자마자 이같이 말했다.
이날 사고를 포함해 최근 6개월간 구미에서 불산, 염산 등 맹독성 화학물질 누출사고 3건이 잇따르자 시민들은 거침없이 불만을 쏟아냈다.
사고가 난 구미케미칼에서 불과 1㎞ 가량 떨어진 곳에 사는 조윤정(30·여·공단동)씨는 “유독성화학물질이 또 다시 누출됐다는 소식을 듣고 얼른 아파트 베란다 창문을 닫았다”며 “공기 중 유독가스는 멀리까지 퍼진다는데 4살난 아이를 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모(58·여·형곡동)씨는 “작년 불산누출사고 때문에 병원치료를 받았는데 또 다시 유독가스가 누출됐다고 하니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다”며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지 원인을 빨리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 시민들은 환경당국의 무능한 예방책에 대해 분노를 표시했다.
시민 김모(40)씨는 “사고가 날 때마다 구미시 등은 대책마련에 부산을 떨지만 말로만 대책 운운하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잊을만 하면 사고가 터지니 불안해 살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수진(27·여·형곡동)씨는 “벌써 몇번째냐. 구미시가 화학물질 사고에 무관심한 것 같다”며 “안전관리와 대책에 구멍이 뚫린게 확실하다”고 말했다.
유독화학물질을 다루는 업체들의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날 구미케미칼 염소가스 누출은 작업장 내 환풍시설이 고장 나 주입 중이던 염소가스가 역류하면서 발생했다.
시민 김민화(28·여)씨는 “같은 종류의 사고가 반복되는데도 유독화학물질을 다루는 업체들의 안전의식이 전혀 개선되지 않는 것 같다”며 “행정당국의 관리감독도 중요하지만 업체들의 솔선수범이 우선이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