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교육청 “200여校 융합형 교과 수업”
“극작가가 희극 읽기를 지도하는 국어 수업, 현직 다큐멘터리 감독이 시사 프로그램 제작을 돕는 사회 시간…”서울의 중학교에서 현직 예술인이 보조 강사로 참여하는 ‘예술 융합형’ 교과 수업이 첫 선을 보인다.
서울시교육청(교육감 곽노현)은 다음달 시내 중학교 200여곳에서 ‘문ㆍ예ㆍ체 활성화를 위한 전문강사 사업’을 시행키로 하고, 다음주께 학교별 신청서를 받는다고 4일 밝혔다.
이 제도는 학교가 연극ㆍ영화ㆍ만화ㆍ국악ㆍ자율(자유주제) 등 5개 영역 중 하나를 택해 융합형 수업 계획서를 내고, 시교육청이 이중 우수 사례를 정해 관련 강사 인건비를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강사는 만화가, 연극배우, 시나리오 작가 등 교사 자격증과 관련없이 교육적 효과가 인정되는 전문가면 누구나 부를 수 있고, 최소 주 1회 담당 교사와 함께 협업 형태로 수업을 진행한다.
또 자율(자유주제) 영역을 따로 정해 담당 교사의 자율적 판단에 따라 무용가나 소설가, 가수 등 다양한 범위의 예술인을 섭외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놨다.
애초 시교육청은 문화관광체육부와 절반씩 비용을 부담해 지난 수년 동안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선발하는 예술 강사를 일선 학교로 파견하는 사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학교당 강사가 1∼2명에 그쳐 동아리 지도 업무 등을 주로 맡기고 정규 수업 참여에 참여시키기는 어려워, 교육 효과가 제한적이었다는 것이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계획서에 따라 학교당 최소 3∼4명의 강사를 쓸 수 있게 할 방침”이라며 “오는 18일께 사업 학교를 뽑아 다음달에 바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이 사업에 연 3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고, 강사 선발 업무는 예술가별 직능 단체나 대학의 산학협력단 등에 맡길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