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국내 北전문가 20명 긴급 설문
국내 북한 전문가들 다수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김정은 후계 체제’가 안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내다봤다. 김정은 체제가 빠른 속도로 붕괴하거나, 대남 무력 도발을 시도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정은(가운데)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참배객들을 맞고 있는 가운데 20대로 보이는 한 여성이 김 부위원장의 뒷자리를 지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딸인 김여정이거나 김정은의 부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뒤의 여성은 동생? 부인?
김정은(가운데)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참배객들을 맞고 있는 가운데 20대로 보이는 한 여성이 김 부위원장의 뒷자리를 지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딸인 김여정이거나 김정은의 부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가운데)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이 참배객들을 맞고 있는 가운데 20대로 보이는 한 여성이 김 부위원장의 뒷자리를 지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딸인 김여정이거나 김정은의 부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35%인 7명은 ‘권력 기반이 취약하다’면서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의 후계 수업 기간이 채 3년이 되지 않는다는 점에 우려를 나타낸 것이지만 소수 의견에 그쳤다.
특히 북한 체제가 3년 안에 붕괴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90%(18명)는 ‘낮다’고 밝혔다. 반대로 붕괴 가능성을 높게 진단한 전문가는 2명(10%)에 불과했다.
김 부위원장이 후계자로서 통솔력을 과시하기 위해 1년 내 대남 무력 도발을 시도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체의 85%인 17명은 ‘낮다’고 전망했다. 나머지 3명(15%)만 ‘높다’고 내다봤다.
또 김 위원장 사망 관련, 정부의 대응 수위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엇갈렸다. 정부가 지난 20일 김 위원장의 죽음을 직접 애도하는 대신 “북한 주민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조의를 표하고 정부 차원의 조문단은 보내지 않기로 결정한 데 대해 ‘미흡하다’는 의견과 ‘적절하다’는 주장이 각각 10명씩 나왔다. ‘지나치다’는 의견은 없었다.
장세훈·김효섭기자 shjang@seoul.co.kr
2011-12-2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