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 후보 선출은 당원 70%, 시민 30% 투표

발언하는 심상정 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상무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9.23 연합뉴스
정의당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심상정 대표, 윤소하 원내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전국위원회를 열고 ‘제21대 총선 개방형 경선제 도입방안 승인의 건’을 통과시켰다.
비례대표 후보 선출 방식은 당원 70%, 시민 30% 투표를 적용하기로 했다. 다음달부터 시민선거인단을 모집해 내년 3월 비례대표 후보자 선출 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진보정당 역사상 개방형 경선제 도입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상진 대변인은 “정의당 당헌에 ‘국민, 지지자의 참여 및 의사를 반영해 선출할 수 있다’로 이미 도입 근거를 갖추고 있었지만 제도적으로 전면 도입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개방형 경선제는 정의당 내에서 논란이 큰 안건이었다. 정의당은 당비를 내는 진성당원 중심으로 운영된다. 이 때문에 일반 국민이 경선에 참여하게 되면 당원으로서 가입할 이유가 없다는 진성당원의 불만이 많았다. 또 국민 참여 시 오랜 기간 당에서 활동한 이들의 정계 진출을 차단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었다.
하지만 심 대표 등은 정의당이 폐쇄성을 버리고 당 규모를 키워 대중화하기 위해 개방형 경선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심 대표는 이날 모두 발언에서 “개방형 경선제는 우리 정의당이 지켜왔던 진성당원제 원칙을 존중하면서도 당에 활력을 불어넣고 당의 외연을 확대할 수 있는 전략이자 6만 당원과 300만 지지자가 함께하는 총선 승리를 위해 과감하게 국민 속으로 들어가자는 전략”이라고 했다.
정의당은 지난 1기 전국위원회에서 개방형 경선제 도입을 통과시키려 했지만 나경채 전 대표 등 일부 당원들의 반대로 도입을 미뤘다. 이후 개방형 경선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합리적인 선에서 개방형 경선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결국 이날 당원 70%·시민 30% 투표 방식으로 개방형 경선제를 도입하기로 의결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