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외인 투자 인센티브 강화
한국경제 펀더멘털 이해 높일 것”
조태열 “외교 신뢰 회복 전력투구
북미 협상 가능성에 선제적 대비”

뉴스1
최상목(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8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합동 외신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스1
뉴스1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외신을 상대로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국정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것이라며 한국의 회복탄력성을 믿어 달라고 강조했다. 경제·외교 수장이 함께 외신기자간담회를 연 것은 이례적이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조 장관과 공동으로 한 외신간담회에서 “예산안과 주요 세법이 지난 10일 국회에서 통과되는 등 정치 상황과 관계없이 경제정책이 여야정 협의하에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특히 대외신인도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꼽고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동시에 한국경제설명회 등으로 한국경제의 견조한 펀더멘털(기초)에 대한 이해를 높이겠다”고 했다. 경제·외교 부처가 함께하는 대외관계장관 간담회 정례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의 민관합동 확대 개편 방안도 내놨다.
조 장관도 “최단 시일 내 외교를 정상화시키고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전력투구할 것”이라며 한미동맹과 한일 협력 유지, 한미일 협력 강화는 물론 중국과도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발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특히 “미국의 신행정부 출범 이전에 우리의 대응 구상과 로드맵을 마련해 북미 협상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가겠다”고도 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리처드 그리넬 전 주독일대사를 북한 관련 ‘특수 임무’ 담당 대사로 지명한 것을 두고 “북핵 문제를 우선순위 과제에서 빼놓지 않았다는 걸 입증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 패싱’ 우려에는 “이번 사태가 그전에 구축해 놨던 소통의 정치적 동력을 좀 약화한 측면이 있기에 그 동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최 부총리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투자활성화장관회의를 열고 ‘기업·지역 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미 계획된 14개 투자 프로젝트 중 9조 3000억원 규모의 7개 프로젝트와 관련해 내년 중 착공 등 실질적인 투자가 이뤄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2024-12-19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