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기 청와대 비서실장은 21일 지난해 3월부터 1년간 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과 자신과의 전화 착발신 기록이 140여회로 나왔다는 언론 보도와 관련, “전화가 왔는데 받는 게 당연하지 내가 피할 일이 있느냐. 그게 다다”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글쎄 (성 전 회장이) 전화를 많이 했으니…”라면서 “난 (오는 전화를) 다 받은 사람”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앞서 이 실장은 지난 10일 ‘성완종 리스트’에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것과 관련해 “성 전 회장은 최근 경남기업에 대한 검찰 수사가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했을 즈음 이뤄진 통화에서 결백을 호소하며 구명을 요청한 바 있다”면서 “성 전 회장이 자신은 결백하니 도와달라며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 영향력을 행사해줄 것을 요청했다.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한데 대해 인간적으로 섭섭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당시 “성 전 회장에게 자신이 결백하고 시중에 오해가 있다면 검찰 수사에 당당하게 임해 사실을 명백하게 밝히는 게 좋겠다고 했고, 검찰에 영향을 미칠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설명했다”며 “앞으로 더 이상 연락을 안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고 말한 바 있다.
연합뉴스
이 실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글쎄 (성 전 회장이) 전화를 많이 했으니…”라면서 “난 (오는 전화를) 다 받은 사람”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에 앞서 이 실장은 지난 10일 ‘성완종 리스트’에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것과 관련해 “성 전 회장은 최근 경남기업에 대한 검찰 수사가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했을 즈음 이뤄진 통화에서 결백을 호소하며 구명을 요청한 바 있다”면서 “성 전 회장이 자신은 결백하니 도와달라며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 영향력을 행사해줄 것을 요청했다. 도움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한데 대해 인간적으로 섭섭했던 것 같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당시 “성 전 회장에게 자신이 결백하고 시중에 오해가 있다면 검찰 수사에 당당하게 임해 사실을 명백하게 밝히는 게 좋겠다고 했고, 검찰에 영향을 미칠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설명했다”며 “앞으로 더 이상 연락을 안했으면 좋겠다는 취지의 말도 했다”고 말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