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일 절충 계속키로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의 종착점이라 할 수 있는 청문회가 사실상 무산됐다.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와 국조특위 정두언 위원장, 여야 간사인 한나라당 차명진, 민주당 우제창 의원은 3일 오후 증인 채택을 위한 막판 절충을 벌였고, 황우여 원내대표와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가 심야 전화 접촉을 했으나 끝내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황 원내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오늘은 증인 채택 합의가 안됐다”고 말했고, 한나라당 소속의 정두언 국조특위 위원장은 “청문회는 사실상 무산됐다”고 밝혔다.
핵심인 ‘증인 청문회’를 둘러싼 난항이 거듭됨에 따라 저축은행 국정조사는 ‘반쪽’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렇게 될 경우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저축은행 특검’이 급부상할 수도 있다.
국조특위는 오는 5일 대검찰청을 대상으로 한 기관보고에 이어 10∼11일 이틀간 증인들을 출석시킨 가운데 청문회를 개최, 저축은행 사태 발생 원인 규명과 피해자 구제책 등을 모색한 뒤 12일 활동을 종료할 예정이었다.
이날 오전 여야 원내대표와 국조특위 간사의 ‘4인 회동’을 시작으로 한 여야 간 릴레이 협상에서는 전 한나라당 청년위원장인 이영수 KMDC 회장의 증인 채택 문제가 최대 쟁점이었다.
우제창 의원이 ‘삼화저축은행 불법자금 24억원이 이영수 회장을 통해 한나라당 전당대회에 유입됐다’는 의혹을 제기했고, 한나라당과 이영수 회장은 우 의원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한 상태다.
한나라당은 근거없는 의혹을 토대로 이영수 회장을 증인으로 채택할 수 없으며 현재까지 합의한 64명의 증인만으로 청문회를 개최할 것을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이 회장을 포함해 전ㆍ현직 청와대 고위관계자 등을 청문회장에 세울 것을 요구하며 팽팽히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여야 원내대표는 증인 채택을 위해 4일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어서 막판 극적 타결 가능성을 열어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