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당권주자인 남경필 후보는 20일 “(당대표 후보인) 유승민 의원은 좋은 정책연대 대상 중 한명이고, 앞으로 생각과 추진의지가 같다면 정책연대를 고려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남경필 의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남경필 의원
남 후보는 이날 오전 라디오방송에 출연, “전당대회 과정에서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 국민의 불안 등에 초점을 맞춰 정책을 내놓을 것이며 정책에 동의하는 후보와 연대, 세(勢)를 만들어 정책노선 경쟁을 치를 생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해 “이미 80만명의 서명으로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상당한 정치적 승리가 안겨진 만큼 여기서 멈추는 게 좋겠다”며 “(주민투표 결과) 만약 서울시장 선거를 이 시점에 치르면 당을 어렵게 만들고 야권연대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며 ‘철회’ 입장을 고수했다.
그는 보수 진영의 역할에 대해 “도덕성만큼은 확실히 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대통령이 ‘온 나라가 썩었다’고 했는데, 대통령이 사과할 일이지 공무원들에게 ‘왜 썩었느냐’고 남 말 하듯 할 일은 아닐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남 후보는 이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중장년층 고용ㆍ소득 안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민연금 수급시기까지 임금피크제와 연동된 정년 법제화를 추진, 단계적으로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현행법상 ‘정년이 60세 이상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규정을 의무 조항으로 바꾸고, 오는 2022년까지 정년을 63세로 단계적으로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청년실업 문제와 관련, ‘청년 10만 일자리 특별법’을 5년 한시법 형태로 제정하고, 기업에는 청년고용창출 세액공제 및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