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이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 적응을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하나금융은 최근 북한 이탈주민 지원재단인 남북하나재단에 3억원의 기부금을 전달하는 등 탈북 새터민 정착사업에 적극 관심을 보이고 있다.
김정태(왼쪽)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지난 4월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에서 남북하나재단의 탈북 새터민 정착사업을 지원하기로 한 뒤 기부금 전달식을 가졌다. 하나금융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정태(왼쪽)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지난 4월 서울 중구 을지로 본점에서 남북하나재단의 탈북 새터민 정착사업을 지원하기로 한 뒤 기부금 전달식을 가졌다. 하나금융 제공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은 “앞으로 다가올 통일 시대의 주역이 될 새터민들이 우리 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정착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이 탈북 새터민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선 건 1년 전부터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10월 새터민과 함께하는 어울림한마당을 후원하면서 새터민과 일반 시민이 어울릴 수 있는 장을 마련했다. 지난해 11월에는 모두하나데이를 맞아 새터민과 함께 김장행사를 열었다. 또 새터민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이 참여하는 DMZ평화통일대장정 행사를 후원하기도 했다.
하나금융은 올해 남북하나재단과 함께 청소년 장학사업과 의료비 지원에 나선다. 특히 미래 통일 시대를 준비하는 통일 리더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만들어 100명의 대학생 통일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새터민이 교육을 받는 하나원에서는 탈북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총 4회에 걸쳐 ‘하나 어린이 경제뮤지컬’을 공연한다.
하나금융은 지난 5월 통일부와 ‘탈북민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협약’을 맺기도 했다. 새터민의 근로소득 중 저축금액에 대해 정부가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는 미래행복통장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5-07-17 5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