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도어 업계 관계자들은 “어떤 의류 업체든 대리점마다 가격이 다르지 않다.”며 공정거래위원회가 아웃도어 가격만 문제 삼는 데 강력히 반발했다. 또 “대리점에 부당한 강요도 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이미지 확대
아웃도어 매장들이 몰려 있는 서울 종로5가. 아웃도어 의류의 가격 거품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각 매장에서는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저마다 할인율을 제시하며 판매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아웃도어 매장들이 몰려 있는 서울 종로5가. 아웃도어 의류의 가격 거품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각 매장에서는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저마다 할인율을 제시하며 판매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코오롱스포츠 관계자는 “대리점에 물건을 줄 때 알아서 팔라고 하면 브랜드 유지가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입 방식은 점주들이 옷을 (본사에서) 구매해서 판매하기 때문에 판매 가격을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리는 위탁 방식이어서 대리점의 재고 부담까지 본사가 진다.”며 “공정위에서 조사하는 ‘재판매 가격 유지’에 해당되지 않는 걸로 안다.”고 밝혔다.
K2 관계자는 “정찰제이기 때문에 대리점에 정해진 가격에 팔라고 한다.”며 “매장마다 점주들이 가격을 정해 판다면 소비자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어떤 고객은 한 매장에서 더 비싸게 살 수 있고, 어떤 고객은 다른 매장에서 더 싸게 살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인테리어 지침과 관련, 코오롱스포츠 관계자는 “본사에서 인테리어 지침을 마련해 일방적으로 강요하지 않는다.”며 “본사 지침을 따르라고 한다고 해서 요즘 세상에 점주들이 수긍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K2 관계자는 “본사 지정 업체에서 인테리어를 하도록 하는 규정 같은 건 없는 것으로 안다.”며 “대리점에 부당하거나 불법적으로 정책을 운영한 게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프랜차이즈협회 관계자는 “인테리어는 본사가 이윤을 남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 유지를 위해 공통된 인테리어 업체에 맡기는 것”이라며 “시공 시간이 절약돼 매출에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다.”고 했다.
이어 “가격 정책도 일종의 브랜드 콘셉트”라며 “대리점마다 가격이 다르면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브랜드 이미지가 실추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을 통일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1-12-1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