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에 갈 땐 등산화 둘레길엔 트레일화

산에 갈 땐 등산화 둘레길엔 트레일화

입력 2011-04-08 00:00
수정 2011-04-08 0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목적지 따라 신발도 가려 신는 센스를

예전엔 산을 오르든, 길을 걷든 통칭 등산화라 불리는 발 편한 신발 하나만 챙기면 중간은 갔다. 하지만 제주도 올레길 열풍 이후 신발도 걷고 오르는 길에 맞춰 가려 신어야 하게 됐다. 등산화는 험준한 산악지형에 맞춰 제작돼 무겁고, 운동화는 평평한 길 바닥을 기준으로 제작됐기에 불규칙한 노면이 충격이 발바닥에 고스란히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둘레길 등을 걸을 때 등산화보다 가볍고 운동화보다 안정감 있는 트레일화를 신는 것이 적합하다고 조언한다.

이미지 확대
프로스펙스의 트레일화 ‘W 트레일 210’은 장시간 걸어도 발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설계됐다. ‘무브 프레임’은 흙길, 돌길 등 다양한 길에서 흔들리고 미끄러지는 발을 양쪽에서 잡아 주고 ‘아치 서포트 인솔’은 오래 걸어도 발을 편안하게 해 준다.

장시간 걸을 때 발바닥 통증이 오는 이유는 발바닥 안쪽(아치)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W 트레일’의 ‘아치서포트 인솔’은 아치를 지지해 주는 기능을 해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고안됐다.

코오롱스포츠의 트레일 워킹화는 ‘둘레’(남성용)와 ‘올레’(여성용)는 역동적인 선을 활용한 디자인과 배색으로 멋스럽다. 투습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와 쿠션으로 편안한 착화감을 선사한다.

코오롱스포츠 용품기획팀 황상훈 팀장은 “트레일 워킹은 장시간 비포장 도로에서 걷는 행위이므로 트레일 슈즈는 기능적으로 많은 것을 필요로 한다.”면서 “우선 장기간 보행에 따른 피로감을 줄이기 위해 가벼운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황 팀장은 또 “외부로 오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도 고려해야 한다.”며 “쿠션이 과하면 피로감이 빨리 오고, 쿠션이 너무 없으면 외부 충격이 고스란히 전달되므로 반드시 신어 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라푸마의 ‘라이온 LC’(18만원)는 안창과 겉창의 신발 상부 부분 전체에 매시를 사용해 통풍성과 경량성을 극대화한 제품이다. 오랜 산행 후에도 땀이 차지 않고 가벼워 활동성이 좋다. 사계절용으로 출시됐으며, 브랜드 고유의 포플러 장식으로 포인트를 줘 멋그럽다.

골프화 브랜드 잔디로의 등산화는 신발 장인들이 우리 지형에 맞게 안정적인 산행을 보장하도록 만든 제품이다. 영국수입 피타드 LV천연가죽과 방수·발수 기능이 우수한 나노텍스, 통기성이 좋은 매시 소재를 사용해 갑작스러운 악천후에도 끄덕없다.

폴리우레탄 중창은 신발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네 겹의 천연가죽으로 댄 안쪽 바닥창은 관절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 분산시켜 피로를 줄여 준다.

노스랜드의 ‘그린란드’(13만 2000원)는 다목적 등산화라 할 수 있다. 산이든 들이든, 도심이든 어디에서나 어울린다. 다이알 시스템으로 끈 풀림의 걱정을 없앴다. 매시 원단을 사용해 방수 및 투습 기능이 뛰어나다. 고무창 소재로 접지력이 뛰어나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1-04-08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