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디뮤지엄 ‘취향가옥2’
‘하나의 거대한 집’ 변신한 전시장예술 애호가의 개인 공간 엿보며
타인의 취향에서 나의 취향 찾기
M4 층 과감한 색채에 유괘한 감성
M3 층 모노톤·M2 층 비대칭 곡선
층마다 다른 분위기와 특징 눈길

디뮤지엄 제공
맨 아래층 M2 스플릿 하우스에서는 김창열의 대표작 ‘물방울 ENS 204’와 강석근의 도자기 ‘~위하여’, 리 브룸의 조명, 피에르 폴랑의 가구가 관객을 맞이한다.
디뮤지엄 제공
디뮤지엄 제공
지극히 사적인, 집이라는 공간에서 타인의 취향을 엿보고 나의 취향을 찾아가는 전시가 찾아왔다.
대림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서울 성동구 디뮤지엄은 예술과 삶이 결합된 전시 ‘취향가옥2’를 선보인다. 전시장은 지금 거실, 침실은 물론 주방, 욕실, 테라스까지 마련된 하나의 거대한 집으로 변신했다. 미술 작품을 전시하는 가장 기본적인 공간인 화이트큐브나 아트페어에서 만나던 거장들의 작품이 집안 곳곳에 스며들었다. 전통적인 공예품과 디자인 가구까지 배치돼 안목 있는 예술 애호가의 집을 구경하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모두 3개 층으로 이뤄진 전시는 층마다 완전히 다른 취향을 보여 준다. 가장 아래층 M2 스플릿 하우스는 정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공간이다.
문을 지나 비로소 집 안으로 들어왔다고 생각한 순간 마주하는 작품은 김창열의 ‘물방울 ENS 204’다. 작가가 그려 낸 작은 물방울을 바라보고 있으면 문밖에서 묻어 온 후회와 정념이 정화되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작품 곁에는 프랑스 디자이너 피에르 플랑의 유기적인 곡선의 소파와 영국 대표 디자이너 리 브룸의 조명과 탁자가 함께 설치돼 있다. 탁자 위에는 ‘~위하여’라는 제목이 붙은, 강석근의 목기 두 점이 자연의 비대칭 곡선을 품고 있다.
복도를 따라 들어가면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이우환의 대작 ‘바람과 함께’, ‘조응’이 나란히 걸려 있고 아래엔 가구 디자이너 조지 나카시마가 만든 의자가 어우러져 있는, 절제미가 느껴지는 공간을 만나게 된다. 이 밖에도 파블로 피카소의 도자기, 권영우, 다니엘 리히터의 회화 작품이 어우러진 방도 관람객의 발길을 머물게 한다.

디뮤지엄 제공
가운데 층 M3에는 하종현의 ‘접합 93-011’과 ‘접합 93-024’, 이재하 디자이너의 테이블이 함께 놓여 있다.
디뮤지엄 제공
디뮤지엄 제공
한 층 올라 M3 테라스 하우스에 가면 높은 층고와 대리석, 모노톤의 작품들이 M2와는 대조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크리스티아나 지오파토와 크리스토퍼 쿰스 부부가 작업한 조각 ‘브루마 샹들리에 케스케이드 185’는 천장에 매달려 안개 낀 날 혹은 물위에 번지는 빛을 떠올리게 한다. 좀더 깊숙이 들어가면 하종현의 ‘접합’ 시리즈를 만날 수 있다.
마대 자루 뒷면에 두껍게 물감을 올리고 앞면을 밀어 넣는 배압법, 삐져나온 물감들 위로 자유롭게 뻗은 선, 뭉친 물감의 덩어리들이 그의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보여 준다.

디뮤지엄 제공
전시 맨 위층 M4에 자리한 듀플렉스 하우스의 모습. 백남준의 대표작 ‘즐거운 인디언’(왼쪽)의 뒤로 로이 릭턴스타인의 ‘불완전한 회화’가 걸려 있다.
디뮤지엄 제공
디뮤지엄 제공
마지막 층 M4에 있는 듀플렉스 하우스는 복고적 감성과 미래적 상상력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과감한 색채의 향연을 만날 수 있다. 백남준의 대표작 ‘사과나무’와 ‘즐거운 인디언’이 5년 만에 동시 공개되며 로이 릭턴스타인의 ‘불완전한 회화’, 헤르난 바스의 ‘추방’ 등도 만날 수 있다.
전시 공간 곳곳에는 작품 감상을 넘어서는 또 다른 즐거움이 기다리고 있다. 바로 개인 수집가들의 프라이빗 컬렉션 공간으로 빈티지 미니카, 넥타이, 레트로 서핑보드 등 600여점에 이르는 다양한 오브제가 소개된다.
디뮤지엄 관계자는 “예술 작품과 디자인 가구, 오브제들이 어우러진 공간을 거닐다 보면 일상 속 익숙한 풍경을 새롭게 감각하고, 예술이 삶 속에 스며들며 만들어 내는 미묘한 변화와 풍요로움을 직접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내년 2월 22일까지.
2025-07-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