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고도를 기다리며’ 초연 45주년… 역대 배우 총출동 특별공연
블라디미르(디디)와 에스트라공(고고)은 시골길 위에 서서 언제 올지 모르는 ‘고도’를 기다린다. 지루함에서 벗어나려 이들은 하릴없는 이야깃거리를 찾고, 모자를 바꿔 쓰고, 싸우고 토라졌다 화해한다. 어제도, 오늘도 오지 않는 ‘고도’를 강산이 한 번, 두 번 바뀌도록 기다린 이들이 있다. 1994년부터 21년째 블라디미르 역을 맡고 있는 한명구(55)와 2005년부터 10년째 에스트라공을 연기하는 박상종(53)은 임영웅(80) 연출의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산증인이다. 두 배우가 합을 맞춘 기간만 10년, 공연 횟수만 400여회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연극 ‘고도를 기다리며’의 무대 위에 나란히 선 배우 한명구(오른쪽)와 박상종. 물음표를 닮은 나무 아래서 그들만의 ‘고도’를 기다려온 지 10년이다.“베토벤의 곡이라도 연주자가 해석하기에 따라 달라져요. 우리는 호흡이 척척 맞는 연탄곡 연주자죠.”(박상종)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사뮈엘 베케트의 희곡 ‘고도를 기다리며’가 임영웅 연출의 손을 거쳐 국내에 초연된 게 1969년이다. ‘고도를 기다리며’의 45돌과 임영웅 연출의 데뷔 60주년, 서울 마포구 산울림소극장 개관 30주년을 맞아 두 달 동안 역대 출연 배우들이 총출동하는 기념공연이 열린다. 지난 12일 첫 공연의 막을 연 배우 한명구와 박상종을 산울림소극장에서 만났다. ‘고도를 기다린다’는 건 어떤 의미인지, 지금도 갖가지 분석이 쏟아지는 이 부조리극을 두 배우는 어떻게 해석하는지 궁금했다.
→한명구:처음 대본을 받아 들고 이게 뭔가 싶었죠. 사흘에 걸쳐 읽었습니다. 공연은 하겠다고 약속해 놨지만, 스토리텔링이 이뤄지지 않으니 어떤 관점으로 작품을 이해해야 하는 건지 암담했어요.
→박상종:고도를 기다린다는 게 두 사람에게는 운명처럼 짊어져야 할 벌인가 하는 질문을 던져 봤습니다. 시시포스 신화처럼 인간의 고통스러운 숙명일지 모른다는 생각을 했죠.
→한:서구에서는 기독교적인 구원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분석이 많아요. 임영웅 연출은 “우리가 사는 모습”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사실 무대 위에서 드러나는 건 고도를 기다리며 하는 배우들의 ‘짓거리’들 뿐입니다. 고도가 올 때까지 둘이서 무슨 짓이라도 하면서 시간을 때우는 거죠. 인생도 마찬가지예요. 우리의 삶도 미래의 어떤 바람을 향해 자고, 일어나고, 공부하고, 일하는 일상을 반복하죠.
→박:베케트는 극 안에서 성경과 신의 상징을 은연중에 내포합니다. 그래서 저는 신의 존재에 대한 물음을 끊임없이 반복합니다. 신이 나타날 것인가, 우리에게 벌을 내릴 것인가 하는…. 결국 기다리는 자의 몫으로 남는 것이죠.
두 배우가 관객들에게 전하는 ‘관극 포인트’는 간명했다.
→한:두 주인공은 고도가 누구인지, 올지 안 올지도 모른 채 기다립니다. 이건 어릿광대 같은 짓이죠. 그래서 배우들은 놀이를 하듯 과장되고 우스꽝스럽게 연기합니다. 부조리극이라고 해서 어렵게 느낄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코미디라고, 어릿광대가 나와서 말도 안 되는 짓거리들을 하고 있다고 무심히 즐기면 됩니다. 공연이 끝나고 나면 약간의 의미가 떠오를 수 있습니다.
→박:줄거리를 따라가지 말고 상황을 따라가라는 조언을 드리고 싶네요.
두 배우는 디디와 고고에게서 느끼는 감정을 묻는 질문에 ‘연민’이라는 답변을 내놨다. 디디와 고고의 기다림은 곧 자신들의 인생과도 같다고 했다.
→한: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며 매일매일 열심히 살고 있는 우리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은 심정이죠.
→박:한 해 한 해 배우 자신을 돌이켜 보게 하는 작품입니다. 예전엔 배우로서 사람들이 많이 알아줬으면 하는 욕심이 있었는데 이 작품을 하면서 그런 욕심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인생에 대해 관조적, 성찰적으로 변했달까요.
두 배우가 삶 속에서 기다리는 ‘고도’는 무엇인지 물었다. 이들에게 ‘고도’는 가까이 있는 듯했다.
→한:오늘 지금 행복한 것, 그것이 제가 바라는 고도지요.
→박:나이 오십에 만난 딸(그의 늦둥이 딸)이 무럭무럭 커서, 성인이 돼 아빠와 여행 가서 술 한 잔 하고 인생을 이야기하는 순간!
5월 17일까지 서울 마포구 산울림소극장. 3만~4만원. (02)334-5915.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3-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