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 “명절에 전 부칠 필요 없다…음식 9개면 족해”

성균관 “명절에 전 부칠 필요 없다…음식 9개면 족해”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2-09-05 15:03
수정 2022-09-05 15: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차례상 표준안’ 발표

이미지 확대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차례 간소화 기자회견’을 갖고 간소화 된 차례상 예시를 발표하고 있다. 2022.09.05 뉴시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 차례 간소화 기자회견’을 갖고 간소화 된 차례상 예시를 발표하고 있다. 2022.09.05 뉴시스
추석 명절을 앞두고 유교 전통문화를 보존해온 성균관이 추석을 앞두고 전을 부치느라 더는 고생하지 말라는 점과 음식 가짓수는 최대 9개면 족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차례상 표준안’을 발표했다. 

표준안에 따르면 간소화한 추석 차례상의 기본 음식은 송편, 나물, 구이(적·炙),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다. 여기에 조금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을 놓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성균관 측은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고 애쓰지 않으셔도 된다”고 말했다.

또한 성균관 측은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차례상에 올릴 필요가 없다고도 했다.
이미지 확대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이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대국민 차례 간소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09.05 뉴시스
최영갑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이 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대국민 차례 간소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2.09.05 뉴시스
기름진 음식에 대한 기록은 사계 김장생 선생의 ‘사계전서’ 제41권 의례문해에 나온다. 밀과나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가 아니라고 했다고 성균관 측은 소개했다.

그간 차례상을 바르게 차리는 예법처럼 여겨왔던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 관련 옛 문헌에는 없는 표현으로, 상을 차릴 때 음식을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했다.

성균관유도회총본부회장인 최영갑 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은 이날 회견문에서 “차례는 조상을 사모하는 후손들의 정성이 담긴 의식인데 이로 인해 고통받거나 가족 사이의 불화가 초래된다면 결코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번 추석 차례상 표준안 발표가 가정의례와 관련해 경제적 부담은 물론 남녀갈등, 세대 갈등을 해결하고 실질적인 차례를 지내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바랐다.

앞서 정부는 추석 주요 성수품 가격을 작년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며 역대급 물량공세를 예고 한 바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추석(9월10일)을 앞두고 주요 성수품 가격이 크게 뛰었다. 배추·무 등 채소류와 사과·배 등 과일류 가격이 작년보다 크게 올랐다. 차례상 비용은 7% 가까이 뛰어 소비자 부담이 커졌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