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미안해… 새끼 거북 항문에서 나온 비닐과 플라스틱

인간이 미안해… 새끼 거북 항문에서 나온 비닐과 플라스틱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1-12-23 09:43
수정 2021-12-23 17: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쿠아리움파운데이션 인스타그램
아쿠아리움파운데이션 인스타그램
손바닥 크기의 새끼 바다거북 항문에서 길쭉한 비닐이 나온다. 비닐이 조금씩 빠질 때마다 움찔거리는 거북이 속에는 미세 플라스틱 46개가 있었다.

해양보호단체 아쿠아리움파운데이션에 따르면 지난 3~5월 보호 중이던 새끼 바다거북 52마리를 관찰한 결과, 그중 60%에 달하는 33마리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상태였다. 이 시기는 바다거북 새끼들이 길을 잃고 표류하는 경우가 많은 때였고, 배설물 검사, 사체 부검 등을 통해 발견된 미세플라스틱은 총 353개였다.

바다거북은 알에서 깨어나면 해변을 떠나 바다로 나가 해류를 타고 헤엄치며 바다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다. 인간이 바다에 플라스틱을 버리면서 바다거북에게 독이 되고 있는 것이다. 어린 바다거북은 특별한 식단 없이 바다를 떠다니는 무엇이든 먹는 데다, 포식자가 적은 해안 인근에 머물기 때문에 플라스틱 오염에 노출되기 쉽다.

거북이가 가장 많이 섭취한 플라스틱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이었다. 태평양 거북에게서 나온 플라스틱은 인간이 쓰는 제품에 활용되는 단단한 플라스틱이 많았고, 인도양 거북에게서는 낚싯줄이나 그물 섬유 등 해양장비가 주로 발견됐다.

플로리다 주립대학의 휘트니 바다거북병원이 공개한 새끼 거북이 배속은 더욱 충격적이었다. 불과 48g밖에 되지 않는 새끼 거북이 한 마리의 배속에 플라스틱 287조각이 나온 것이다. 병원 측은 “갓 부화한 새끼 거북이들이 플라스틱에 얼마나 노출돼 있는지 연구한 결과 42마리 가운데 39마리, 92.86%가 위장관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조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병원 측은 새끼 거북이들에 대한 장세척을 진행, 플라스틱 쓰레기 조각을 꺼내는 작업을 벌였지만 대부분이 죽고 말았다. 부화한지 얼마 안된 새끼 거북이들이 플라스틱을 잔뜩 먹고 결국 죽어가는 상황. 인간이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플라스틱이 해양동물들에게는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있다는 사실은, 인류가 쓰레기를 줄이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이유다.  
@sea_turtle_hospital_at_whitney 인스타그램)
@sea_turtle_hospital_at_whitney 인스타그램)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