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먹은 과자봉지…‘딱지’ 접어 버리지 마세요!“

“다 먹은 과자봉지…‘딱지’ 접어 버리지 마세요!“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1-06-24 17:13
수정 2021-06-24 17: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름기, 양념 제거되지 않으면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딱지로 만든 과자봉지(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농심 공식 페이스북
딱지로 만든 과자봉지(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농심 공식 페이스북
라면이나 과자를 먹고 남은 비닐. 딱지로 접어 버리는 사람이 종종있지만, 딱지가 된 비닐은 재활용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과자봉지를 딱지로 접어서 버리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남은 봉지, 딱지로 접어 버리면 재활용 안된다최근 환경부 산하기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포스트에 올라온 내용에 따르면 과자봉지 등의 비닐 쓰레기는 딱지로 접거나 매듭을 묶어서 버리면 안 된다.

재활용품 선별장에서는 비닐이 얇고 가벼워야 기계가 빨아들이는데, 딱지가 되면 무거워져 기계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풍력 선별기를 사용하는 비닐 재활용 공정에서는 딱지로 접힌 비닐은 잘 날아가지 않아 결국 폐기한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재활용품 선별장에서 일반 쓰레기로 분류돼 버려지게 돼 재활용을 할 수 없게 된다.

비닐류 어떻게 제대로 버릴까? ‘비닐 버리기’ 3단계그렇다면 비닐류는 어떻게 버려야 제대로 버리는 것일까. 재활용선별장에서는 ‘비닐 버리기’ 3단계를 잘 지키라고 권고한다.

1단계에서는 비닐 내부를 잘 확인할 수 있게 봉지를 평평하게 잘라야 한다. 라면이나 과자봉지 등 내부를 확인할 수 없는 불투명한 재질의 비닐들은 오염됐을 가능성이 있어서 재활용되지 않아서다.

2단계에서는 비닐 내부를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과자봉지나 음식을 담았던 비닐 속 염분이 재활용 원료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3단계는 비닐을 말려서 쌓아 버리는 것이다. 쌓아놓은 비닐이 날아가지 않도록 한곳에 넣어서 버리면 된다.
딱지로 만든 과자봉지.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딱지로 만든 과자봉지. 온라인커뮤니티 캡처
뿐만 아니라 환경을 생각하는 올바른 비닐 분리배출방법으로는 ‘비닐에 붙어있는 스티커·테이프 제거하기’, ‘비닐에 묻어 있는 이물질 세척하고 건조하기’ 등이 있다.

위생팩이라고 부르는 일회용 비닐봉투도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양념, 기름기 있는 음식을 포장한 경우 물로 깨끗하게 세척해야 한다.

씻어도 색이나 냄새가 빠지지 않는다면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한다. 택배 시 물건을 감싸는 용도로 함께 오는 에어캡이나 비닐충전재도 바람을 잘 빼서 비닐로 분리배출하면 된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도 위생이나, 경제적인 문제로 비닐 사용을 아예 하지 않을 수는 없다”며 “하지만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버리는 비닐만큼은 반드시 재활용이 될 수 있도록 조금 더 신경 쓰고, 함께 실천하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이를 접한 네티즌들은 “몰랐다. 항상 딱지 접어 버렸는데”, “딱지 접으면 부피가 작아져 더 도움될 줄”, “충격이네”, “앞으로 잘 버리겠습니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