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왕님도 드셨던 보양식, 풍천장어의 맛

용왕님도 드셨던 보양식, 풍천장어의 맛

입력 2013-04-29 00:00
수정 2013-04-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EBS 29일 밤 ‘요리비전’

전북 고창은 숱한 명창들을 배출한 ‘판소리의 고창’이다. 조선 후기 판소리 이론가이자 교육가로 계통 없이 불려오던 소리를 체계화해,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등 6마당 체제로 정리한 동리 신재효(1812~1884)가 대표적이다. 신재효 선생의 퇴별가(토끼전) 완판본에는 ‘용왕이 병이 나서 임금 자리에 높이 누워 여러 날 신음하여 용의 소리로 우는구나. 수중의 온 벼슬아치들이 정성으로 구병할 때… (중략) 양기가 부족한가? 해구신도 드려보고, 폐결핵을 초잡는지 풍천장어 대령하고’란 대목이 나온다. 요즘에는 고창보다 유명해진 ‘풍천장어’가 적어도 200년 전부터 보양식으로 유명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양식이 대세인 요즘에도 고창에는 갯벌을 뒤져 자연산 장어를 잡는 이들이 있다. EBS 제공
양식이 대세인 요즘에도 고창에는 갯벌을 뒤져 자연산 장어를 잡는 이들이 있다.
EBS 제공
EBS에서 29일 밤 8시 20분 방송하는 ‘요리비전-바람을 타고 온 맛, 풍천장어’에서 풍천장어의 오랜 역사를 쫓아가 본다. 미식가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논쟁거리인 ‘풍천’은 일반명사이면서 곧 고유명사다. 우리나라의 강과 하천은 백두대간을 경계로 서쪽 지역에서는 동에서 발원하여 서로 흐르고(東出西流). 백두대간의 반대편에서는 서에서 발원해 동으로 흐른다(西出東流). 이런 자연현상을 거역한 채 역류하는 하천을 풍수학에서 ‘풍천’(風川)이라 한다. 고창군 심원면 선운산 도솔암 서쪽에서 발원해 선운사 앞을 거쳐 서해로 빠지는 인천강이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서쪽에서 발원해 북향했다가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다시 서해로 들어가는 서출동류 현상을 보인다. 때문에 풍천은 풍수학의 일반명사이면서 선운사 앞 하천을 일컫는 고유명사로 굳어졌다.

장어의 수요를 감당하려고 양식업이 활발한 요즘, 아직 전통방식으로 풍천장어를 잡는 이들이 있다. 문재정씨는 갑문을 여닫으며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틈틈이 갯벌의 돌무더기를 뒤져 자연산 장어를 잡는다. 자부심이 남다른 그는 아버지에게 기술을 전수받았다. 복분자는 고창의 또 다른 특산물이다. 복분자 소스를 이용한 장어요리의 맛을 찾아가 본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3-04-2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