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아프리카 강소국 베냉 왕국을 가다

서아프리카 강소국 베냉 왕국을 가다

입력 2011-11-07 00:00
수정 2011-11-0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7일부터 EBS 테마기행

EBS 세계테마기행은 7~10일 오후 8시 50분 ‘작지만 강한 나라, 아프리카 베냉’ 편을 방영한다. 베냉? 익숙지 않은 이름이다. 아프리카 서쪽, 가나와 나이지리아 사이에 길고 가느다란 형태로 끼어 있는 나라다.

이미지 확대
베냉의 수도 포르토노보 풍경. 근대화됐으나 여전히 부두교 등 전통사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EBS 제공
베냉의 수도 포르토노보 풍경. 근대화됐으나 여전히 부두교 등 전통사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EBS 제공
면적은 한반도의 반 정도. 하지만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번영한 왕국 다호메이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돼 있는 아보메 왕궁과 아프리카 유일의 청동공예제품 등 눈요깃거리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1부 ‘부두교의 중심, 위다’는 부두교를 집중 조명한다. 대개 부두교 하면 뭔가 신비주의적이고 기괴한 종교를 떠올린다. 그런데 이런 오해는 대부분 서구를 거쳐 들어온 경우가 많다. 흑인 노예들이 혹독한 노동을 이겨내기 위해 기댔던 버팀목이 바로 부두교다.

미국으로 팔려가기 전 개처럼 끌려갔던 4㎞ 모랫길 ‘노예의 길’, 두번 다시 고향으로 돌아올 수 없다 하여 이름 붙은 ‘돌아올 수 없는 문’ 같은 옛 노예무역의 흔적을 따라가면서 부두교에 대한 오해를 걷어 낸다.

2부 ‘사라진 왕국, 아보메’는 다호메이를 조명한다. 다호메이는 베냉 이전의 국호.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강력했던 왕국이었다. 호전적이었던 이들은 신의 대리인을 자처하면서 프랑스에 점령되기 전까지 적대 부족들을 미국에 노예로 팔아넘기면서 많은 부를 쌓았다.

그들이 쌓아올린 화려한 궁전이 바로 아보메다. 이 왕궁과 주변 지역의 답사를 통해 왕국의 화려했던 옛 모습을 쫓아가 본다.

3부 ‘전통 그대로의 삶, 솜바족’은 베냉 북부에 위치한 나티팅고를 찾아간다. 이곳에는 송이버섯처럼 생긴 집, 타타솜바를 짓고 사는 솜바족이 있다. 옛 왕국 시절 자신들을 노예로 팔아넘긴 이들은 집권세력 바리바족이었다.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대항하기 위해 요새 같은 집을 짓기 시작했는데 이게 타타솜바라는 독특한 집 형태가 됐다. 단순한 원통형 집처럼 보이지만 입구에 들어서면 미로 같은 방과 통로를 거쳐야 한다. 위기감은 종족의 단결을 단단하게 해주는 법. 솜바족은 빗살무늬 문양의 타투를 하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단단히 한다.

4부 ‘종교와 삶이 하나, 케토우’는 아직도 전통사회 풍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베냉의 속살을 본다. 지금이야 민주공화국이라는 체제 아래 대통령제를 근간으로 하는 헌법을 채택하고 있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아직도 각 지역별, 부족별로 왕이 따로 존재하고, 이 왕들은 자신의 권역에서 문화 관광의 왕 역할을 떠맡고 있다. 주민들도 재판 같은 법적 절차보다는 주술사를 찾아가거나 전통 의식에 기댄다. 케토우 지역을 통치하고 있는 요루바족의 왕을 만나 이에 대한 얘기를 듣는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11-07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