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컬렉터 ‘봉’ 그래서 슬픕니다

한국 컬렉터 ‘봉’ 그래서 슬픕니다

입력 2011-06-11 00:00
수정 2011-06-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년째 美 활동 김웅 인터뷰

“그런데 그게 그렇게 큰 관심거리인가요.” 간단한 반문이었다. 오는 23일까지 서울 신사동 예화랑에서 개인전을 여는 김웅(67) 작가. 최근 끝난 이탈리아 베네치아비엔날레 얘기가 화제에 오르자 이처럼 말했다.

이미지 확대
김웅
김웅
김 작가는 1979년 미국으로 건너가 스쿨 오브 비주얼아트와 예일대에서 미술을 공부한 뒤 지금까지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두 가지 점이 눈에 띄었다.

우선 미국에서 30년 넘게 작업해 오고 있음에도 작품은 사뭇 한국적이다. “프로들이 그린 그림보다는 아마추어들이 만든 전통 민예화나 도자기에 관심이 많았다.”는 작가의 말처럼 산과 들과 초가집과 온갖 벌레 같은 것들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추상적으로 표현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구상화 같은 느낌이다.

큰 작품들은 선을 쓱쓱 그어 표현한 산 모양이 있어 조선시대 병풍처럼 느껴진다. 작은 작품들은 접시에 담긴 풍경을 형상화했는데 거실 같은 곳에 둘 소품으로 적당해 보인다. 캔버스를 잘라 붙여 입체감을 주는 동시에 물감을 두껍게 덧칠한 것도 인상적이다. “돈 없이 촌에서 자라다 보니 장판이나 도배 같은 걸 내 손으로 직접 했는데, 그래서인지 뭔가 두껍게 붙이거나 바르지 않으면 덜 그린 것 같고 완성한 것 같지가 않다.”는 게 이유다. 그러고 보니 두껍게 칠해진 화면은 마치 기름을 두껍게 먹인 장판, 두번 세번 겹쳐 바른 벽지 같다.

주요 활동 무대가 미국이다 보니 국내파들이 쉽게 할 수 없는 얘기들도 술술 풀어냈다. 베네치아비엔날레에 대해서는 “서구 작가들은 개인 작업을 중시하기 때문에 그런 비엔날레, 특히 미국 작가들은 유럽에서 열리는 비엔날레에 대해 큰 관심이 없다.”면서 “국가 대항전이라는 이미지가 미술이라는 장르와 어울리는지도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의 ‘물주’들이 해외 작품을 유명작이라는 이유로 사들이는 행태에 대해서도 일침을 놨다.

김 작가는 “내가 겪은 바로는 서양은 이해타산과 계산이 지긋지긋할 정도로 철저하다.”면서 “그런 사람들이 한국이란 곳에서 작품을 사겠다고 했을 때 곧이곧대로 1급 작품을 내놓을 리 없다는 게 내 생각”이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아마 그런 작품이 한국에 들어왔다면 틀림없이 전시되지 못하고 창고에 있던 작품을 팔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일부 한국 컬렉터들이 국제 시장에서는 일종의 ‘봉’이 아니겠느냐는 얘기다. 김 작가는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비판이나 불만이 아니라 슬프다는 뜻”이라고도 했다. 30년간 뉴욕에 머물면서도 한국적 느낌의 작업을 하는 이유와도 겹쳐 보였다. (02)542-5543.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1-06-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