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휘자 래틀·베를린필 86분간 숨죽이게 하다
“사이먼 래틀이 보여주는 말러의 해석은 과거 말러를 지휘하던 대표적인 지휘자 브루노 발터, 오토 클렘페러 등과 비교할 수 없다. 우리는 지금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천재적인, 엄청난 통찰력과 본능적인 감각으로 이루어진 래틀의 능력을 보고 있기 때문이다.”(영국의 클래식 음악평론지 ‘그라모폰’·1988년)
래틀경은 “12살 때 ‘부활’ 실황공연을 처음 보던 순간, (나를) 지휘라는 길로 이끌게 한 곡”이라면서 “말러는 세상의 모든 것을 하나의 교향곡 안에 넣으려 했고, ‘부활’은 모든 오케스트라 작품을 통틀어 가장 감동을 주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래틀경과 베를린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완벽한 파트너십이 빛나는 ‘부활’이 말러 서거 100주년을 맞아 2장의 CD로 발매됐다. 지난해 10월 베를린 필하모니아홀 연주 실황이다.
말러가 6년에 걸쳐 완성한 ‘부활’은 오케스트라와 성악 솔로, 합창단을 위해 작곡한 곡으로 인간의 삶과 죽음에 관한 고찰이 담겨 있다. 첫 1~3악장만 연주된 초연 때만 해도 “지독하고 고통스러운 불협화음”이라는 악평을 들었다. 그러나 말러의 생전에 이미 가장 성공적인 교향곡으로 자리매김했다.
선뜻 친해지기 쉽지는 않다. 86분에 이르는 대곡이다. 특히 클라이 맥스인 5악장만 35분에 이른다. 말러가 익숙하지 않다면 한번에 듣기보다 나눠 듣는 것도 나쁘지 않다. 첫 번째 CD는 24분여의 1악장을 담고 있다. 묵직하면서도 긴박한 호흡으로 같은 음을 빠르게 반복하는 첼로 도입부는 쉽게 귀에 익을 터.
1악장에 흥미를 느낄 즈음 두 번째 CD로 가는 손길이 가벼워진다. 잔잔한 2~4악장의 ‘고비’를 넘어서면 말러가 베토벤 교향곡 9번의 영향을 받아 심혈을 기울였다는 5악장과 만날 수 있다. 합창과 독창, 전체 오케스트라가 환희의 함성 속에 하나가 되는 피날레는 청중을 압도하고, 사로잡기에 완벽하다. 베를린필은 오는 11월 내한해 말러 교향곡 9번을 들려줄 예정이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03-0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