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 만에 1조 2500억 달러 사라져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28일부터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을 동시에 인하했다. 주가가 폭락하고 경기 하강 압력이 심해지자 과감하게 돈을 풀기 시작한 것이다.
인민은행은 올해 기준금리와 지준율을 번갈아 가며 각각 3차례씩 인하했는데 금리와 지준율을 동시에 내린 것은 2008년 10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그만큼 성장 둔화세가 심각하다는 뜻이다. 중국의 올 1분기 성장률은 7.0%로 전년도보다 낮아졌으며 2분기에는 7%를 밑돌 가능성이 있다.
특히 지난 26일 상하이 주가지수가 무려 7.4%나 폭락해 2주 연속 ‘검은 금요일’을 연출했다. 지난 12일 5166을 찍었던 상하이 지수는 2주 만에 4192로 주저앉았다. 이 기간 멕시코 경제 규모와 맞먹는 1조 2500억 달러가 증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조치에 대해 “불안에 떠는 주식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 성장률을 떠받치려는 의지 표현”이라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1987년 10월 ‘검은 월요일’을 맞아 내놓았던 은행 간 무차별 대출 독려와 맞먹는 대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인민은행의 계속되는 유동성 방출은 투기적 수요를 부추길 뿐 단기 자금이 기업의 장기 대출로 전환될 가능성은 별로 없다는 지적도 많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6-2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