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서 도심 점거 민주화 시위가 벌어진 작년 10월 이후 경찰의 인터넷 게시물 삭제 요구가 급증해 인터넷 검열 강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홍콩 정부가 최근 정보기술(IT) 분야 직능 대표인 찰스 목(莫乃光) 입법회(국회격)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10월 이후 웹사이트와 서비스 제공업체에 게시물 삭제를 요구한 사례가 101건에 달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5일 보도했다.
이는 작년 1∼9월 29건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2011년 이후 작년 9월까지 게시물 삭제 요구 건수 94건을 웃도는 수치다.
경찰은 삭제 요청한 게시물이 선정적인 기사와 인터넷 피싱 사기, 부정한 의도의 접속 등과 관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누리꾼은 경찰이 작년 10월 시위 계획을 논의하는 글을 인터넷에 올린 23세의 남성을 체포한 점 등을 근거로 도심 시위를 계기로 인터넷 검열이 크게 강화됐다고 주장했다.
홍콩대 인터넷투명성보고팀의 제니퍼 장 연구원은 “일부 온라인 포럼 운영자들은 경찰이 수시로 전화나 이메일로 이용자의 게시물 삭제를 요청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경찰이 인터넷 검열을 위해 법 집행권을 남용될 소지가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찰스 목 입법회 의원은 “많은 인권운동가는 경찰의 인터넷 범죄 단속과 관련한 활동이 표현의 자유를 저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며 “시민의 신뢰를 얻고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홍콩 시민과 학생은 작년 9월 28일부터 정치적 제한 없는 진정한 행정장관(행정수반) 직선제를 요구하며 도심 점거 시위를 벌였다가 79일 만인 12월 15일 경찰에 의해 강제 해산됐다.
한편, 도심 시위를 주도한 대학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학련) 소속 학생회 중 최대 규모인 홍콩대 학생회가 최근 학생 투표를 거쳐 과반수 찬성으로 학련 탈퇴를 결정하는 등 시위 찬반 학생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홍콩 정부가 최근 정보기술(IT) 분야 직능 대표인 찰스 목(莫乃光) 입법회(국회격)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10월 이후 웹사이트와 서비스 제공업체에 게시물 삭제를 요구한 사례가 101건에 달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15일 보도했다.
이는 작년 1∼9월 29건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2011년 이후 작년 9월까지 게시물 삭제 요구 건수 94건을 웃도는 수치다.
경찰은 삭제 요청한 게시물이 선정적인 기사와 인터넷 피싱 사기, 부정한 의도의 접속 등과 관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누리꾼은 경찰이 작년 10월 시위 계획을 논의하는 글을 인터넷에 올린 23세의 남성을 체포한 점 등을 근거로 도심 시위를 계기로 인터넷 검열이 크게 강화됐다고 주장했다.
홍콩대 인터넷투명성보고팀의 제니퍼 장 연구원은 “일부 온라인 포럼 운영자들은 경찰이 수시로 전화나 이메일로 이용자의 게시물 삭제를 요청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경찰이 인터넷 검열을 위해 법 집행권을 남용될 소지가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찰스 목 입법회 의원은 “많은 인권운동가는 경찰의 인터넷 범죄 단속과 관련한 활동이 표현의 자유를 저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며 “시민의 신뢰를 얻고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홍콩 시민과 학생은 작년 9월 28일부터 정치적 제한 없는 진정한 행정장관(행정수반) 직선제를 요구하며 도심 점거 시위를 벌였다가 79일 만인 12월 15일 경찰에 의해 강제 해산됐다.
한편, 도심 시위를 주도한 대학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학련) 소속 학생회 중 최대 규모인 홍콩대 학생회가 최근 학생 투표를 거쳐 과반수 찬성으로 학련 탈퇴를 결정하는 등 시위 찬반 학생 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