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동생 2년 간격으로 입양, 같은 병원 일하다 유전자 검사 받고 혈연 확인… 480㎞ 떨어져서 자라
어릴 적 헤어져 미국으로 입양된 한국 출신 이복 자매가 39년 만에 우연히 같은 병원에서 근무, 해후했다. 두 살 터울의 자매가 겪은 극적인 사건을 10일(현지시간) 새러소타 헤럴드트리뷴이 보도했다.
우연히 같은 병원에 취직하는 바람에 39년 만에 미국에서 다시 만난 한국 이복자매 신복남(왼쪽)·신은숙씨.
오브라이언은 한국에서의 어린 시절을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었다. 알코올 중독자인 아버지를 피해 계모와 함께 이복동생을 데리고 어린 시절 서울에서 부산으로 야반도주했고, 계모가 양육권을 포기함에 따라 고아원에 맡겨진 자매 중 동생이 1976년 미국으로 입양됐던 사정을 언니는 잊지 않았다. 아버지가 반대한다는 이유로 입양 대상자가 되지 않았던 오브라이언도 이후 부친이 사망함에 따라 9살이던 1978년 미국으로 입양됐다.
미국에 살게 됐을 때부터 성인이 되고 나서까지 오브라이언은 미국에 있을 동생을 찾으려 백방으로 수소문했지만 허사였다. 동생 찾기를 포기했었던 오브라이언은 한국 이름의 성이 같은 휴즈에게 남다른 끌림을 느끼고 “함께 유전자 검사를 받아보자”고 설득했다. 검사 결과 꿈에 그리던 이복자매가 휴즈였다는 사실에 오브라이언은 감격했다.
나중에 확인해보니 자매는 480여㎞ 떨어진 곳에서 성장했다. 자동차로 4~5시간이면 닿는 거리다. 오브라이언이 결혼하면서 직장을 옮기고, 휴즈가 아버지 병수발을 위해 이사하며 사는 곳은 더 가까워졌다. 우연히 직업도 같았다. 그럼에도 지난 1월 언니가 먼저 닥터스 병원에 자리잡고 2개월 뒤 동생이 같은 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할 때까지 언니는 동생이 지척에 있음을 예상하지 못했다.
유전자 검사 결과 통보를 받았던 지난 8월 17일 오브라이언은 마침내 동생을 찾음과 동시에 두 명의 조카와 만났고, 동생은 존재조차 모르던 언니를 갖게 됐다. 언니는 “좋은 일을 해서 이런 기적이 온 것 같다”고, 동생은 “내게 언니가 있었다는 사실에 충격받았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10-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