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힐 권리’ 240만 삭제요청에 구글 “역사수정은 안돼”

‘잊힐 권리’ 240만 삭제요청에 구글 “역사수정은 안돼”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2-28 11:41
수정 2018-02-28 1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범죄전력 영국 기업인, 구글 상대 소송…삭제요청중 43%만 수용

온라인상의 ‘잊힐 권리’를 권리를 놓고 영국 법원에서 처음으로 격돌이 벌어지고 있다.

영국의 한 기업인이 구글 측을 상대로 자신의 과거 범죄 기록이 검색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요구하면서 양측 간 치열한 소송전이 전개되고 있다고 가디언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영국 언론들이 28일 보도했다.

소송을 낸 기업인은 1990년대 말 허위 장부를 꾸민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았으며, 재생의 기회를 줘야 한다고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 기업인의 변호인인 휴 톰린슨은 27일 고등법원 심리에서 자신의 고객이 구글에서 검색되는 내용들로 고통을 겪고 있으며 속상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럽연합(EU) 최고 재판소인 유럽사법재판소(ECJ)가 2014년 구글 검색결과에 나오는 개인정보 삭제 권리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린 뒤 3년 간 구글에 대한 삭제 요구도 240만 건이나 될 정도로 크게 늘고 있다.

하지만 구글 측은 관련 정보 접근에 따른 대중의 이익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능가한다는 판단이 들면 삭제 요구를 거부할 수 있어, 이들 삭제 요구 중 43%만 수용했다.

기업인 측 주장에 대해 구글 측 변호인인 앤서니 화이트는 ‘잊힐 권리’에 대한 판결은 “역사를 새로 쓰거나 소송 제기자 희망대로 그의 과거를 재단할 수 있는 권리에 관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화이트 변호인은 해당 기업인을 유죄로 이끈 위법 행위는 중대하고 일관된 것이었다며 그것은 기만적이고 오도하는 범죄 행위를 포함했기 때문에 관련 당국이 개입했고 의회에서도 비난을 받은 일이 있다고 지적했다.

화이트 변호인은 또 해당 기업인이 소셜미디어나 블로그 포스트, 자신의 사업을 소개하는 블로그 등에서 화려한 경력을 소개하며 “존경받는 기업인”으로 묘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잊힐 권리’마저 부여된다면 그는 계속해서 사람들을 오도하게 될 것이라는 게 화이트 변호인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기업인 측 변호인인 톰린슨은 자신의 고객이 공인도 아니고 상업상 대출과 부동산 개발 자금 모금으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이라고 소개했다.

톰린슨은 “요즘은 사람들이 새로운 사람을 만나기 전에 우선 관련자의 정보를 얻기 위해 구글 검색을 한다”며 젊은 때 혹은 과거의 잘못 때문에 영원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주게 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박했다.

톰린슨은 또 유죄는 이제 효력이 없어졌다며 법은 범죄자가 재생해 정상 생활에 복귀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고 주장했다.

이번 재판은 5일간 지속할 예정인데 범죄 전력자들이나 구글에서 자신의 이야기가 삭제되기를 원하는 사람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북가좌6구역 주택재건축정비사업 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북가좌6구역은 규모가 크고 초등학교가 인접해 있으며,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과 불광천변에 접하고 있어 입지 조건이 뛰어나 향후 서대문구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곳으로 평가되며, 대림산업이 시공사로 선정되어 있다. 김 의원은 축사를 통해 주택 재정비 사업을 조합 설립 전후로 나누어 볼 필요성을 강조하며 “조합이 설립되고 시공사까지 선정된 상황에서 조합장 등 조합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회에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심정을 피력했다. 또한 조합원들에게도 자신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기 위해 재개발·재건축 아카데미 등에 적극 참여하여 정비사업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조합 감시·감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현재 6구역이 서울시 재건축 통합심의를 앞둔 만큼, 신속하게 지도부(조합 임원진)를 결성한 후 핵심 역량을 발휘해 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기를 기원했다. 그는 과거 도시계획 심의위원으로 활동했던 경험을 언급하며, 지역 시의원으로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6구역 재건축 조합 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