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캘리포니아 왜 유독 산불로 신음하나…“온난화가 주범”

美 캘리포니아 왜 유독 산불로 신음하나…“온난화가 주범”

김태이 기자
입력 2017-12-08 10:09
수정 2017-12-08 10: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기록적 폭염이 강력한 고기압 형성 ‘샌타애나’ 강풍 만들어

지난 10월 미국 북 캘리포니아 와인 산지로 유명한 나파와 소노마 밸리 등 8개 카운티에서 발화한 산불로 건물 8천500여 채가 소실되고 주민 40여 명이 사망했다.

두 달 만에 캘리포니아 남서부에서 발화한 산불은 인명 피해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규모 면에서는 북 캘리포니아 산불을 능가한다.

7일(현지시간)까지 로스앤젤레스(LA) 북쪽과 북서쪽, 서부에서 잇달아 발화한 ‘토마스’, ‘크릭’, ‘스커볼’, ‘라이’ 등 4개의 대형 산불은 서울시 전체 면적의 80%에 육박하는 12만 에이커(485㎞)를 태웠다.

기상학자들은 캘리포니아 주가 올해 유독 큰 산불로 신음하는 이유를 여러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미국의 여러 매체들은 이번 산불의 원인을 분석하면서 올여름과 가을의 기록적인 폭염 등 온난화 현상을 공통적인 주범으로 지목했다.

산불을 번지게 하는 외형적 요인은 이른바 ‘샌타애나’라고 불리는 강풍이다.

샌타애나는 모하비 사막과 미 서부 내륙 그레이트 베이슨(대분지)에서 형성된 고기압이 시에라네바다 산맥을 넘어오면서 매우 건조하고 강한 돌풍 형태의 바람으로 바뀌어 태평양 해안가를 향해 몰아치는 기상현상을 말한다.

이번 산불 가운데 가장 피해가 큰 벤추라 지역 토마스 산불은 초당 1천200평을 태우는 속도로 번졌다. 15분 만에 맨해튼 센트럴 파크만한 땅을 태우는 기세다.

벤추라 불로 여의도 면적의 150배 넘는 지역을 태운 것도 샌타애나 강풍 때문이다. 강풍으로 인한 연기는 태평양 쪽으로 1천600㎞를 뻗어 나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도 관측됐다.

샌타애나는 카테고리 1등급 수준의 허리케인과 맞먹은 최고 시속 130㎞의 위력을 지녔다.

그럼 무엇이 샌타애나를 이토록 강력하게 만드는 걸까.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의 기상학자 대니얼 스웨인은 미 공영라디오 NPR에 “올해 가장 더운 여름에 이어 가을에도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된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뜨겁게 데워진 태평양 해수 온도가 강한 고기압을 형성하는 원인이 됐다”고 말했다.

스웨인은 “점점 덥고 건조한 날씨가 거듭되면서 대지의 수풀과 덤불 등이 마를 대로 바짝 마르면서 강력한 불쏘시개 역할을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LA 지역은 월드시리즈가 열리는 10월 말에도 섭씨 40도 가까운 무더위가 이어졌다. 미국 야구 역사상 가장 더운 날씨 속에 월드시리즈 1차전이 열리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11월에도 계속된 더위가 이례적으로 12월의 대형 산불을 만들어냈다고 지적한다.

산불이 나는 직접적 이유는 끊어진 전선에서 튄 스파크나 담배꽁초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산불의 확산 추세를 보면 온난화를 빼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여기에다 LA 지역에 9월 이후 고작 5㎜에도 미치지 못하는 강우량을 기록할 정도로 건조한 날씨가 지속돼 기름을 부은 셈이다.

랠프 테러저스 캘리포니아 소방국 국장은 “캘리포니아 주민은 모든 대피령에 즉각 반응할 준비를 하고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 저녁 LA카운티 주민들에게는 수백만 통의 긴급 재난문자가 동시에 전송되기도 했다.

전병주 서울시의원, 양진중 간담회 통해 운동장 건립 및 시청각실 개선 필요성 강조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병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광진1)은 지난 6월 24일 양진중학교를 방문해 교직원·학부모들과 간담회를 갖고 교육환경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운동장 부재와 시청각실 노후화 문제 등 학교 현안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현재 양진중학교는 체육관, 탁구장, 농구장 등 제한된 공간만으로 체육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총 868명의 학생이 이용하기엔 부족한 규모로 수업 시간 중복으로 체육활동 운영 전반에도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전 부위원장은 “운동장은 단순한 체육 공간이 아니라 학생들의 심신 발달과 정서 안정을 위한 필수 기반 시설”이라며 “여러 대안을 적극 검토하고 관계 기관과 협의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시청각실 환경 개선 사업에 대한 설명도 이어졌다. 개교 이래 보수가 이뤄지지 않은 시청각실은 의자, 바닥, 조명, 방송장비 등 대부분의 시설이 노후화돼 학습 효과를 저해하고 있다. 이에 전 의원은 “시청각실은 학부모총회, 진로설명회 등 각종 행사가 열리는 중심 공간”이라며 “스마트 교육이 가능한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예산 확보와 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전 부
thumbnail - 전병주 서울시의원, 양진중 간담회 통해 운동장 건립 및 시청각실 개선 필요성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