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북한의 핵무기 위협 등에 맞서 미사일 방어 예산을 크게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오후 뉴저지 주 베드민스터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들과 회의를 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AF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트럼프 대통령
트럼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오후 뉴저지 주 베드민스터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들과 회의를 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AFP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뉴저지주 베드민스터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들과 회의를 한 뒤 기자들과 만나 “미사일 방어 예산을 수십억 달러 늘리겠다”면서 곧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AP통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가 비핵화되기를 바란다”면서도 “그렇게 될 때까지 미국은 단연코 지구 상에서 가장 강력한 핵 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에 직면할 것이라는 자신의 경고에도 북한이 8월 중순에 괌 주변을 타격한다고 위협하는 등 더욱 거세게 나오는 데 대해 “아마도 그 성명이 충분히 강하지 않았던 것 같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김정은)가 괌에 무슨 일을 하는지 지켜보자”며 “그가 괌에 무언가를 하면 누구도 본 적 없는 일이 북한에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과의 무역에서 손해를 많이 본다면서도 북한 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우리를 도와주면 나는 무역에 대해 완전히 다르게 느낄 것”이라며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북한을 향해 연일 초강경 경고 발언을 내놓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에도 트위터에 미 핵무기의 강력함을 과시했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첫 번째 명령은 우리의 핵무기를 개조하고 현대화하는 것이었다”며 “(이를 통해)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다”는 메시지를 올렸다.
하지만 이에 대해 미 언론과 전문가들은 미국의 핵무기 현대화 작업은 이미 전임 오바마 정부 때 시작한 것으로 아직 완성 단계에 있지 않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과장’된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