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수엘라 반정부 시위 사망자 38명으로 늘어…‘가짜뉴스’ 기승

베네수엘라 반정부 시위 사망자 38명으로 늘어…‘가짜뉴스’ 기승

입력 2017-05-06 07:05
수정 2017-05-06 07: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 퇴진과 조기 선거 등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가 2개월째 계속되면서 사망자가 38명으로 늘어났다.

5일(현지시간) 엘 나시오날 등 현지언론에 따르면 공업도시로 중도 우파 야권의 지지 세력이 많은 카라보보 주 발렌시아 시에서 전날 엑데르 루고(20) 씨가 머리에 총격을 받아 숨졌다.

발렌시아에서는 전날 반정부 시위대와 군경이 격렬히 충돌했다. 시내 일부 상점이 폭도들로부터 약탈을 당하는 등 한때 도시가 무법천지로 변했다고 현지언론들은 전했다.

지난달부터 계속된 반정부 시위와 친정부 맞불 집회로 촉발된 혼란을 틈탄 약탈 등으로 인한 사망자가 38명으로 늘었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부상자는 700명에 달한다.

정부는 최근 벌어진 반정부 시위 사태로 37명이 숨진 것으로 공식 집계하고 있다.

경제난에 허덕이는 베네수엘라에선 대법원의 의회 권한 대행 시도와 야권 지도자의 공직 선거 출마 금지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가 지난달 초부터 이어지고 있다.

마두로 대통령이 최근 제헌의회 구성 절차를 강행하자 잦아들 기미를 보이던 반정부 시위는 다시 격렬해지고 있다.

특히 온라인상에서는 ‘마두로 대통령이 망명했다.’ ‘야권 지도자가 독살됐다’는 등의 가짜뉴스가 정치적 혼란을 틈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야권 지지자들은 소셜미디어상에서 정부에 불리한 확인되지 않은 정보를 확대해 재생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라모 베르데 교도소에 수감 중인 레오폴도 로페스(46)가 독살돼 군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소문이 소셜미디어상에서 급속히 퍼지자 정부가 로페스의 생존 동영상을 찍어 진화에 나선 바 있다.

마두로 행정부는 소셜미디어상에서 유통되는 가짜뉴스에 대응하고 친정부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디지털 민병대’를 조직하기도 했다.

마두로 행정부는 베네수엘라의 석유 이권을 노리는 미국의 물밑 지원을 받는 야권이 식품과 생필품난 해소 등 경제난과 정국혼란 해소에는 협조하지 않은 채 정부 전복과 권력 찬탈에만 열중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베네수엘라의 정치적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은 베네수엘라에서 벌어지는 일부 행위에 대해 개탄스럽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백악관은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하지 않은 채 “베네수엘라에서 벌어지는 일부 행위들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면서 “특정 사안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6월 2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촉식 및 제1차 전체회의에서 시민권익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서울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민원 처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설치된 기구로, 민원 처리의 전문성과 공정성 강화를 목표로 운영된다. 이번 제1기 위원회는 서울시의회 내부위원 15명과 외부위원 7명으로 구성됐으며, 외부위원으로는 대학교수, 국회입법조사처 팀장, 변호사, 회계사, 기업 전문가 등 각 분야 전문가가 참여해 실질적인 민원 해소와 제도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위원 임기는 2025년 6월 27일부터 2026년 6월 26일까지다. 첫발을 내디딘 서울특별시의회 시민권익위원회는 ▲의회 민원처리 종합계획 수립 ▲의회신문고 운영·관리 ▲서울시 및 서울시교육청 민원현황 분석 ▲현장 민원조사 ▲주요 시책사업과 관련한 민원 대응 ▲관련 법·자치법규 개선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박 의원은 평소 “안 된다, 어렵다”는 관행적 민원 응대에서 벗어나 “된다, 해보겠다”는 적극행정을 강조하며, 강동지역 민원 해결사로서 주민과 행정 사이의 가교 역할을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1기 시민권익위원회 위원 위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