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일보, 인터넷 언론 통제에 ‘총대’맸다

중국 인민일보, 인터넷 언론 통제에 ‘총대’맸다

입력 2016-03-22 09:55
수정 2016-03-22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장 명의 논평서 “뉴미디어, 당의 영도 이탈 안 돼” 지침 제시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가 인터넷 매체를 비롯한 사이버 언론 통제 옹호에 ‘총대’를 매고 나섰다.

양전우(楊振武) 인민일보 사장은 21일 자 논평에서 “뉴미디어는 당의 영도를 이탈해서는 안 되고, 치외법권 지대가 돼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미국에 서버를 둔 중화권 매체 보쉰(博迅)이 보도했다.

8천 자에 이르는 장문의 논평은 “뉴미디어는 뉴스 제작에서 기존의 전통 매체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기준, 하나의 요구, 하나의 마지노선을 지켜야 한다”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인민일보 이론 판에 ‘정치가의 언론에 대한 시대 요구: 시진핑(習近平) 동지의 신문여론공작좌담회 연설의 정신을 학습하자’는 제목으로 실린 논평은 “인터넷 여론관리가 최대 변수”라면서 “뉴미디어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당의 목소리를 힘차고 멀리까지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칼럼은 시진핑 국가 주석 퇴진을 요구하는 공개서한 파문이 언론계와 정치권으로 확대되는 상황에서 나와 당국의 인터넷 언론 통제 강화 조처가 잇따를 것을 예고했다.

중국 지도부는 이번 사건을 중시해 대규모 전담 수사반을 구성하고 베이징, 신장, 홍콩 등지에서 수십 명을 조사하고 있으며, 저명 언론인 자자(賈가<초두머리 아래 段>·35) 등 언론계 인사 5명을 구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에 따라 양 사장이 논평에서 언급한 뉴미디어는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정부가 운영하는 인터넷 매체 ‘무계신문(無界新聞)’을 지칭한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해당 매체에는 ‘충성 공산당원’이라고 서명된 이런 내용의 공개서한이 올라왔다가 삭제되는 소동이 벌어졌다.

이 매체는 신장자치구 정부 이외에 알리바바 그룹과 차이신(財新) 미디어그룹이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소리(VOA) 방송은 중국 정부의 인터넷 여론 통제가 강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중앙 정부를 위해 인터넷 여론을 조성하는, 관변 평론가 ‘우마오당(五毛黨)’존재가 공개되면서 각급 정부와 대학들도 ‘인터넷 평론원’을 조직해 여론 조작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우마오당’은 인터넷에 글을 한편 올릴 때마다 5마오(90원)를 받는 것을 비하해서 나온 유행어다. 아르바이트생인 ‘우마오당’ 규모가 1천만 명을 넘는다는 보도가 나왔다.

인민일보가 인터넷 통제 옹호의 선봉에 나선 데 대해 일각에선 인터넷 통제가 강화되면 중국은 문명사회와 단절되고 시대의 흐름을 역행하는 참담한 결과를 맞게 될 것이란 우려의 소리가 나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