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셧다운도 ‘분노한 老兵’ 못당해…국립참전비 개방

美셧다운도 ‘분노한 老兵’ 못당해…국립참전비 개방

입력 2013-10-03 00:00
수정 2013-10-03 0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참전용사들 2차대전 기념비 등에서 항의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업무정지)으로 국립공원과 박물관, 기념관 등이 이틀째 문을 닫은 가운데 2일(현지시간) 워싱턴DC의 일부 공영시설이 개방됐다.

규정 위반임에도 불구하고 바리케이드가 치워진 곳은 링컨기념관과 워싱턴모뉴먼트 사이에 있는 2차 세계대전 국립기념비.

전날 전세기편으로 워싱턴DC에 도착한 미시시피주(州) 출신의 2차 세계대전 참전용사들이 출입 통제된 기념비에 들이닥친 데 이어 이날 오전 다른 지역에서 온 노병들까지 가세해 항의 집회를 하면서 셧다운이 일시 해제된 것이다.

휠체어에 앉거나 지팡이를 짚고 나타난 수백명의 참전용사들은 이날 기념비 인근에서 시설 폐쇄 조치에 항의한 뒤 입장했으며, 일부 연방의회 의원들이 현장을 찾아 이들을 위로하고 격려했다.

특히 일부 참전용사들은 “닫을 필요가 있는 시설만 닫아야 할 게 아니냐”면서 셧다운으로 참전기념비가 폐쇄된 데 대해 분노를 표시하기도 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원경찰은 “셧다운에 따른 규정 때문에 지방에서 온 나이 많은 참전용사들을 상대로 법 집행을 할 수는 없다”면서 “나도 참전용사 출신”이라고 말했다.

이곳을 관리하는 국립공원관리청(NPS)의 캐럴 존슨 대변인은 참전용사들의 기념비 출입이 일시 허용됐다고 확인한 뒤 수정헌법 1조가 보장하는 시위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존슨 대변인은 그러면서 일반인들은 여전히 방문할 수 없으며, 내셔널몰에 있는 다른 전쟁기념비들도 폐쇄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나 인근에 있는 베트남전 기념비와 한국전 기념공원 등에서도 참전용사들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고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한국전 기념공원을 찾은 한 참전용사는 한 공원경찰이 나타나 시설이 일시 폐쇄됐다고 알렸으나 방문객들이 공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도 못 본 척하면서 슬그머니 자리를 떴다고 전했다.

한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워싱턴DC를 비롯한 전국의 국립공원 등에서 예정됐던 헌혈 행사, 문화공연, 결혼식 등이 모두 취소되면서 시민들의 항의가 잇따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