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늄 생산 중단 등 제안 “거부하면 추가 제재” 시사
미국,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로 구성된 ‘P5+1’그룹이 26일(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이란과 핵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을 재개했다. 지난해 6월 러시아 모스크바 협상 이후 8개월여 만이다.로이터·AP통신 등에 따르면 캐서린 애슈턴 유럽연합(EU) 외교정책 고위 대표 대변인은 이란 핵 프로그램 재협상에 들어가기에 앞서 25일 “더 진전된 ‘좋은 제안’을 내놓을 것”이라며 “(해당 안들이) 건설적인 협상을 위한 균형 잡히고 타당한 근거가 되리라고 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제안은 이란 핵 프로그램의 본질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담은 것이자 이란의 주장에 대한 반응이기도 하다”면서 “이란이 신뢰 구축 행보에 구체적인 진전을 이루겠다는 성의와 유연성을 가지고 대화에 나와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27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이번 협상에서 P5+1그룹은 이란에 대해 “20% 농축 우라늄 생산 중단과 포르도 핵 농축공장 폐쇄, 이미 제조된 20% 농축 우라늄 국외 반출 등을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고 협상에 정통한 서방 소식통이 전했다.
또 다른 서방 소식통은 “이란의 명확한 양보를 받아내는 대가로 이란에 대해 제재 철회를 논의할 수도 있다”며 “그러나 이란과의 협상에서 진전을 보지 못하면 추가 경제 제재를 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이란 소식통은 27일 “이란은 몇 가지 다른 버전의 제안을 준비했다”면서 “(협상 향방은) 서방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달렸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모든 국제 제재를 풀면 농도 20% 수준의 우라늄 농축 중단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알마티 협상에서) 도약도, 어떤 종합적 해법이나 이변적 결과도 없을 것”이라며 협상 의미를 평가절하했다.
한편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21일 보고서를 통해 이란의 신형 원심분리기 설치 사실을 확인하고 이란의 20% 농축 우라늄이 지난해 11월 232㎏에서 280㎏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20% 농축 우라늄 175~250㎏이면 핵폭탄 1개를 제조할 수 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3-02-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