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다우 9,800도 무너져

<뉴욕증시> 다우 9,800도 무너져

입력 2010-07-01 00:00
수정 2010-07-01 07: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민간 고용이 예상보다 훨씬 부진하게 나오면서 경기회복 지연에 대한 우려가 확산돼 약세를 면치 못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96.28포인트(0.98%) 하락한 9,774.02로 장을 마감했다.

이로써 다우지수는 2분기에만 10%가 떨어져 작년 1분기 이후 가장 낙폭이 큰 분기가 됐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도 10.53포인트(1.01%) 내린 1,030.71을 기록해 1,000선도 위험한 것 아니냐는 암울한 전망을 낳게 했고, 나스닥 종합지수는 25.94포인트(1.21%) 하락한 2,109.24를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 고용분석업체인 ADP 고용주 서비스와 매크로이코노믹 어드바이저스가 6월 민간부문 일자리가 1만3천개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발표하면서 실망스런 분위기가 나타났다.

이는 지난 5월의 일자리 증가폭 5만7천개(수정치)나 시장 예상치 6만개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미국 노동부는 7월2일 정부 부문을 포함한 고용 통계를 발표할 예정이나 센서스(인구조사)를 위해 채용됐던 임시직 근로자들이 해고되기 시작해 실업률은 다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반적인 악재 속에 이른바 ‘공포지수’로 불리는 VIX는 장 마감 당시 34를 넘었다.

유럽 은행들이 유럽 중앙은행에 예상보다 적은 금액의 대출을 요청했다는 소식과 미국 의회가 은행세 도입을 철회했다는 소식에 금융주들은 오전에 그나마 선전했지만 증시 분위기를 바꾸지는 못했다.

석유회사 BP는 멕시코만 원유유출 사고가 조만간 수습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4% 이상 급등했고 포드자동차는 40억 달러의 부채를 모두 상환하고 올해 견조한 흑자기조에 올랐다고 발표하면서 2% 넘게 올랐다.

2분기의 업종별 주가는 주택관련주가 21%나 떨어지고 원자재주는 16%, 금융주는 14%, 에너지와 산업관련주는 각각 13%가 하락하는 등 모두 성적이 안좋았다.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봉양순 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2025년 제1회 서울시 추가경정예산에 노원구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총 33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전반적인 긴축 편성 기조 속에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 공공의료와 복지 강화, 노후 인프라 정비 등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방향으로 잡아 전체적으로는 신규 편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봉 의원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노원구 지역의 도시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 필요성을 반영하여 예산 확보에 성공함으로써 의미 있는 성과를 끌어냈다. 특히 이번 노원구 지역 예산에는 노후 하수관로 정비, 보행환경 개선, 주민 여가공간 재정비 등 일상생활과 직결된 사업들이 대거 반영됐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제기돼 온 수요를 반영한 사업들로 노후 인프라를 개선하여 실제 생활 불편 해소와 삶의 질 향상과 직결된 내용들이다. 주요 예산 확보 내역은 ▲한글비석로 보행환경 개선사업 9억 7000만원 ▲월계동 923-1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5억원 ▲상계로 35길 87일대 하수관로 개량사업 8억 5000만원 ▲어울림공원 재정비 및 환경개선 사업 10억원 등이다
thumbnail - 봉양순 서울시의원, 도시안전부터 공원정비까지...노원 생활환경 개선 33억원 확보

뉴욕=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