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늙지도 낡지도 않고

[길섶에서] 늙지도 낡지도 않고

황수정 기자
입력 2024-11-25 03:16
수정 2024-11-25 03: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첫아이가 한글을 배우던 공책이 어딘가에서 나왔다. 반가워 한참 들춰 보다 오래된 일이 꿈처럼 생각났다.

할머니는 아흔이 다 돼서야 한글과 숫자를 배우셨다. 눌러 적는 연필 끝에서 글자들이 동글동글 굴러 나왔다. 수수경단도 아니고 팥죽 새알심도 아니고. 먹지도 못하는 무언가가 그 손끝에서 빚어진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다.

자식, 손자들 이름을 구별할 즈음. 밥상을 물리듯 미련 없이 공부를 접으셨다. “이만하면 나는 됐다.” 그 후로는 연상과 기억의 시간이었다. 큰딸 이름과 전화번호는 염주알 함지에, 막내아들은 반짇고리에, 나는 베갯잇에….

이음새 얌전한 베개를 보면 지금도 나는 그 안에 들어간 착각에 빠진다. 고치를 잊지 못하는 누에처럼. 그런 생각이 들 때는 밤길을 혼자 걸어도 무섭지 않겠다 싶다. 맞춤법이며 숫자며 시(詩)는 또 무슨 소용인가 싶어지고.

늙은 나무 아래 섰다. 제 품을 비워 낸 잎으로 제 발등을 소복이 덮었을 뿐인데 내 발등이 따뜻해진다. 오래전의 내 전화번호로 전화가 올 것 같다. 늙지도 낡지도 않고 따듯하게 낙엽이 붐비는 이런 날에는.
2024-11-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