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이러한 가을/진경호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이러한 가을/진경호 수석논설위원

진경호 기자
진경호 기자
입력 2022-09-25 20:26
수정 2022-09-26 0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길섶에서
길섶에서
집 둘레로 아무렇게나 핀 맨드라미에게 칼을 댈 뻔했다. 허락도 없이 멋대로 둘러 핀 까닭이다. 이름은 또 왜 맨드라미야. 우리말 놔두고. ‘벼슬꽃’ 이러면 좀 예쁘지 않나. 맨드라미는 대체 어느 나라 말? 혹시 싶어 자료를 찾았다. 아뿔싸! 순우리말이란다. 닭볏을 일컫는 강원도 사투리 ‘면두’에서 왔다는 게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장 말이다. 나잇값 못 하는 과문함이 부끄러워 밑둥을 잘라 내려던 커터칼을 내려놨다.

다시 보니 아련하다. 왜 하필, 아침저녁 찬바람에 무서리가 스멀대는 지금, 어디서 뭘 하다 이제 와 세상 구경하겠다 머릴 내민 건지…. 서정주는 한 송이 국화꽃에 새봄 소쩍새의 울음과 한여름 먹구름 속 천둥이 담겼다 했는데, 붉은 볏 저 맨드라미들은 어떤 풍상을 품었기에 이제야 여기 있는가.

가을은 이러하다. 봄꽃과 여름꽃이 흐드러진 향연을 펼치고 떠나면 비로소 부끄러운 가을꽃들이 하나둘 사연을 낸다. 세상은 가을을 닮았다. 대개의 사람도 그러하다.

2022-09-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