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쑥 캐는 여인/박록삼 논설위원

[길섶에서] 쑥 캐는 여인/박록삼 논설위원

박록삼 기자
입력 2020-03-18 20:56
수정 2020-03-19 02: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바람은 아직 매서웠다. 여전히 얼음장 같을 차가운 물을 두려워하지 않는 윈드서핑 마니아들 네다섯 명이 한강 위를 펄럭거리며 물결을 강둑 쪽으로 밀어내고 있었다. 지난 주말 한강 언저리에는 마스크로 코와 입을 꽁꽁 감싼 채 열심히 운동하는 이들로 제법 북적거렸다. 그 틈바구니에 일고여덟쯤 되는, 손주를 데리고 나온 여인이 있었다. 쭈그려 앉아 허리 숙여 뭔가에 열중이다. 강 구경하는 척하며 슬그머니 곁에 앉았다.

여인이 “맛있는 쑥국도 끓여 먹고, 쑥떡도 해먹자”라고 하니, 아이는 “난 쑥떡 싫은데?”라며 야물게 받아친다. 문구용 칼을 든 여인의 손은 쉬지 않은 채 어린 쑥을 자르고 손주도 “여기도 있다. 여기도” 하며 덩달아 바빴다.

봄이 왔다는 신호는 곳곳에서 뿜어져 나온다. 아직은 땅에 납작 엎드려 있지만, 봄의 기운, 생명의 기운을 잔뜩 머금은 쑥이 겨울이 끝났음을 선언했고, 봄을 빼앗기지 않겠다는 사람들은 기꺼이 쑥맞이, 봄맞이에 나섰다. 버드나무도 곧 진한 초록이 될 연둣빛을 머금고 있고, 개나리도 노란 움을 틔울 준비가 된 듯하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다며 봄과도, 생명과도 거리를 두는 건 좀 서운한 일이다. 나중에 2020년 봄의 기억은 사람마다 유별나게 남을 것이다.

2020-03-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